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중국 군현세력 유입과 고구려·삼한

Ⅲ. 중국 군현세력 유입과 고구려·삼한

우거왕(右渠王)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조선(朝鮮)이 한군(漢軍)의 공격으로 붕괴하자, 그 자리에는 4개의 군(郡)이 들어섰다. 낙랑·현토(玄菟)·임둔(臨屯)·진번(眞番)의 한4군우리역사넷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이다. 중국 지역으로부터 대량의 한인이 조선 지역으로 들어올 수 있는 토대가 마련되었던 것이다. 정복지를 통치하기 위해 파견된 한인 관리와 병사들 그리고 교역의 이익을 얻기 위해 건너온 상인이 그들이었다. 이러한 군현 설치와 한인 유입이 어떤 변화를 가져왔는지 살펴보자.
A. “낙랑 조선민의 범금은 8조인데, 서로 죽이면 즉시 죽음으로 갚게 하고 … 서로 훔치면 남자는 몰입하여 그 가의 노로 삼고 여자는 비로 삼게 하였는데, 스스로 속하고자 할때는 1인당 50만(전)을 내도록 하였다. 비록 면하여 민이 되더라도 사람들은 여전히 이를 수치스럽게 여겨 누구도 그와 결혼하려 하지 않았다. … 그 전민은 변두(籩豆)를 사용하여 마시고 먹었으며, 도읍 사람들은 (군현의) 관리와 내군의 상인들을 모방하여 왕왕 배기를 사용하였다. …”( 『漢書』 卷28下, 地理志 8下 燕地條 한국사DB )주 030
각주 030)
“樂浪朝鮮民犯禁八條 相殺以當時償殺 … 相盜者男沒入爲其家奴 女子爲婢 欲自贖者 人五十萬. 雖免爲民 俗猶羞之 嫁取無所讎 … 其田民飮食以籩豆 都邑頗放效吏及內郡賈人 往往以杯器食” (『漢書』 卷28下, 地理志8下, 燕地條, p.1658).
닫기

 
군 중심지의 조선인들이 한인 관리와 상인이 하는 것을 본따 같은 식기로 식사를 했다는 것은 전래된 한의 문물이 조선의 문화와 습속에 변화를 불러왔음을 보여준다. 중국에서 한인들이 건너옴으로 해서 조선 사회는 한의 문물을 대면하게 되었던 것이다. 이러한 접촉은 군현의 통치 아래 이루어졌다는 점에서 직접적이고 전면적이었다.
이에 따라 조선 사회의 문화에는 한식(漢式)의 색채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무덤에 부장된 유물을 볼 때, 재래의 유물이 감소하고 한식 유물이 증가하는 현상을 볼 수 있는 것이다.주 031
각주 031)
철제무기가 부장되고 목곽(木槨)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을 채용하던 초기의 단계에서 점차 풍부한 한식 유물이 부장되었다. 특히 낙랑군 조선현성조선현성북한문화재자료관위치의 남쪽에는 2천 여기 이상의 무덤이 남아 있는데, 여기에서 한대의 박산로우리역사넷·칠기·동기·옥기·철기·장신구·문방구와 청동거울 등 정교하게 만들어진 각종 부장품들이 나왔다.
닫기
한편 군현의 설치로 조선의 외곽에 있던 세력들도 한 문물을 접하게 되었다. 이는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발견되는 한의 의책(衣幘)과 청동거울·비단·철제대도 등 각종 철기 등을 통해서 확인하여 볼 수 있다. 한의 물품은 군현의 지배력이 미치는 지역을 넘어서 한반도 전역으로 유포되었던 것이다.주 032
각주 032)
이러한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자료로 창원 다호리문화재청문화재청위치(昌原 茶戶里) 1호분을 들고 싶다. 여기에서는 다섯 자루의 붓문화재청과 목간(木簡) 글씨를 깎아내는 철도자(鐵刀子)가 나와, 한사군 설치 이후 한자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고, 이에 따른 문자생활이 한반도 남부지역에까지 확산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송기호(2002), 「고대의 문자생활 비교와 시기구분」『강좌 한국고대사』 5(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7~8쪽RISS).
닫기

그렇지만 한식 유물이 한반도 남부에서 발견된다고 하여 혹은 그 문물을 모방하고 선호하는 풍조가 있었다고 하여, 그것이 조선·한 사회의 전체 구조를 뒤바꿀 정도의 것이었다고 말하기는 어렵다. 한 문물을 모방하고 선호한 이들은 군 중심지의 조선인에 한정되었고, 변두리 사람들은 여전히 예전의 식기를 사용했다고 전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군현의 지배 아래 있던 조선 사회조차 이러한 상황이었다면, 한반도의 다른 지역에서 발견되는 한의 문물은 어떻게 전해졌던 것일까.
이 점에서 군현의 설치에 수반하여 중국에서 한인들이 건너왔다는 사실은 중요하다. 이들에 의해 한 문물이 조선에 전해졌고, 그 한반도 남부 나아가서는 일본열도에도 전파되었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파동의 핵심이 될 낙랑군의 경우, 군현 운영에 필요한 관리가 중국에서 건너왔던 것은 군 설치 초기에 국한되었다.주 033
각주 033)
“(樂浪)郡初取吏於遼東”(『漢書』한국사DB 卷28下, 地理志, p.1658).
닫기
게다가 중국으로부터의 조직적 이민(移民)이나 사민(徙民)의 조치도 내려지지 않았다.주 034
각주 034)
권오중(2004), 「중국사에서의 낙랑군」 『한국고대사연구』 34, 29~30쪽.RISS
닫기
결국 한인이 대량으로 이주했던 것은 군 설치 무렵의 짧은 기간동안이었고 그것마저도 군현이 들어선 제한된 지역에 불과했던 것이다. 이 점에서 적어도 한의 동방지역에서 한 문물이 전파되고 그것을 사용하는데 한인의 집단적 이주가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없으며, 이 지역이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일원이 되는 계기 역시 한인의 집단적 이주에서 비롯되었다고 말할 수는 없겠다. 군현의 설치에 따른 한인의 이주는 어디까지나 인접사회가 중국 문물을 접하는 하나의 계기가 될지언정 인접지역에 중국 문물이 정착하는 것과는 직접적 관계를 갖는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 중국으로부터의 인구 유입이 아닌 군현과 인접지역 간의 교류로 눈을 돌려보면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군현민을 매개로 한 문물이 전수되었을 가능성이 찾아지는 것이다. 낙랑군의 사례를 보면 군현 지배가 장기화되면서 낙랑 군현민은 점차 군현 통치에 협력하게 되었으며, 군현의 속리(屬吏)층을 전담하는 등 군의 지배층으로 탈바꿈하였다.주 035
각주 035)
권오중(2004), 앞의 글, 29쪽.
닫기
또한 군현과 인접 지역 간의 교역이 활발히 전개되었는데, 이를 담당한 이들도 군현민이었다.주 036
각주 036)
尹龍九(1990), 「樂浪前期 郡縣支配勢力의 種族系統과 性格」 『歷史學報』 126, 11~12쪽RISS, 앞서 언급했던 평양 일대의 분묘들은 바로 이들의 경제적 부를 과시하는 것이었다.
닫기
특히 우리의 논의와 관련하여 주목이 가는 것은 군현 지배 하의 낙랑 사회가 점차 한화(漢化)되어갔다는 사실이다. 한인에 의해 이적(夷狄)으로 간주되었던 낙랑의 백성들이 시서(詩書)를 암송할 정도로 유교문화를 향유하게 되었던 것이다.주 037
각주 037)
“巴·蜀 … 遼東·樂浪 周時被髮椎髻 今戴皮弁 周時重譯 今吟詩書” (『論衡』 恢國篇). 관련 설명은 이성규의 연구를 참조(이성규(2006), 「중국 군현으로서의 낙랑」 『낙랑 문화 연구』 38쪽).
닫기

그러면 이들 군현민은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에 어떤 역할을 하였을까. 이와 관련하여 군현의 지배력이 군현 외곽지역에까지 미쳤다고는 볼 수 없기에 군현민이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에 관여하기 위해서는 무언가의 계기를 필요로 하였다고 보아야 한다. 이 점에서 군현과 그 바깥 지역의 여러 세력 간에는 평화적·폭력적 교섭이 빈번하게 전개되었다는 사실에 관심이 간다. 이러한 교섭이 고구려를 비롯한 부여(夫餘)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삼한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등의 여러 세력에 영향을 주었고, 여기에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과 관련된 군현민의 역할이 있었던 것은 아닐까.
군현과의 교섭기록이 일찍부터 보이고, 그 내용이 비교적 풍부한 것은 고구려이다. 이에 고구려를 중심으로 군현과의 교섭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B. “한대에 ‘고취기인’을 내려주었는데, 항상 현도군에서 조복과 의책을 받았으며, 고구려현령이 그 명적을 주관하였다. 그 뒤에 점차 교만하고 방자해져서 다시는 군에 오지않아 동쪽 변경에 작은 성을 쌓아 조복과 의책을 그 가운데에 두니 매년 와서 가져갔다. 지금 호는 아직도 이 성을 책구루라고 부르는데, 구루란 고구려에서 성을 가리켜 부르는 말이다”(『三國志』 卷30 高句麗傳)주 038
각주 038)
“漢時賜鼓吹技人 常從玄菟郡受朝服衣幘 高句麗令主其名籍. 後稍驕恣 不復詣郡 于東界築小城 置朝服衣幘其中 歲時來取之 今胡猶名此城爲幘溝漊. 溝漊者 句麗名城也.” (『三國志』 卷30, p.843).
닫기

 
고구려는 현토군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접해 있다는 지리적 조건에 더하여, 한(漢)의 동방경영(東方經營)과 관련하여 주요한 통제의 대상이기도 하였다. 기원전 75년 한4군의 하나인 현도군이 그 중심지를 고구려의 서북(西北)으로 옮겨 고구려의 성장세를 가로막고 통제아래 두려 했다는 사실이 이를 말하여 준다.주 039
각주 039)
“伐朝鮮 殺滿孫右渠 分其地爲四郡 以沃沮城爲玄菟郡 後爲夷貊所侵 徙郡句麗西北 今所謂玄菟故府是也” (『三國志』한국사DB 卷30, p.846).
닫기

그러면 빈번하였을 군현과의 접촉으로 달라진 고구려의 면모는 어떤 것이었을까. 위의 B 기록에 따르면 교섭 초기 현도군은 관리하던 명부(名簿)에 따라 조복의책을 수여하였다. 한은 군현 지배가 미치지 않는 주변 사회에 대해 조복의책을 소지한 자만이 호시교역에 참가할 수 있도록 제한하였다. 분리조종책을 통해 주변 사회를 효과적으로 통제하고자 했던 것이다. 고구려도 예외는 아니었다. 그러던 군현과의 교통을 고구려 국왕이 독점하게 되면서 조복의책은 5부(部)의 대가(大加)에 비해 결코 우월했다고 볼 수 없는 고구려 초기의 왕권(王權)이 제자리를 잡아나가는데 활용되었다.주 040
각주 040)
노태돈(1999), 「부체제의 성립과 구조」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pp.118~121RISS. 다만 이 글에서는 책구루의 설치와 운용시기에 대해 1~2세기의 일로 보고 있으나, 기원전 75년 이후의 일로 보는 연구도 있다(윤용구(2007), 「고구려의 흥기와 幘溝漊」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서경문화사RISS).
닫기
‘책구루’한국사DB의 설치에 대한 언급이 이를 전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군현과의 교섭에 의해 나타난 변화상은 이것만이 아니었다.
C-1.“ 『책부원구』에 이르기를 고구려는 후한시대에 관직을 설치하였는데, 상가대로패자고추대가주부우태사자조의선인 등이 있으며…” ( 『三國史記』 한국사DB 卷40, 雜志9, 官職 下 )주 041
각주 041)
“冊府元龜云 高句麗 後漢時其國置官 有相加對盧沛者古鄒大加主簿優台使者皁衣先人”(『三國史記』 卷40, 雜志9, 官職 下).
닫기

C-2. “모든 대가들도 스스로 사자조의선인을 두었는데, 그 명단을 모두 왕에게 보고해야 하였다” ( 『三國志』 한국사DB 卷30 高句麗傳 )주 042
각주 042)
“諸大加 亦自置使者·皁衣·仙人 名皆達於王” (『三國志』한국사DB 卷30, 魏書 烏丸鮮卑東夷傳30, p.843).
닫기

 
위의 두 기록은 고구려 초기의 관제에 대한 정보를 전하고 있다. 이들 가운데 C-1의 ‘주부(主簿)’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 관심이 간다. 그 명칭으로 보아 중국 관제의 영향에 의해 성립된 관으로 추정되기 때문이다. 한의 군 태수부(太守府)에는 주부 등의 속리가 편성되어 태수의 업무를 보좌하였다. 이 가운데 문서와 기록을 관장하는 속리가 바로 주부였다.주 043
각주 043)
이성규(2006), 앞의 글, 36~37쪽.
닫기

그런데 고구려의 주부는 한 군현의 주부와는 성격을 달리하는 점이 적지 않았다. 이와 관련하여 대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키백과와 함께 출정군을 지휘한다거나 공회시에 대가와 동급의 지위로 소가(小加)와는 신분적으로 구별되고 고구려 국왕과 더불어 오(吳)위키백과의 손권(孫權)위키백과으로부터 조서(詔書)를 받았다는 사실 등을 들 수 있다.주 044
각주 044)
①“五年 王遣大加優居·主簿然人等 將兵助玄菟太守公孫度 討富山賊” (『三國史記』한국사DB 卷16, 高句麗本紀4, 新大王條).
②“其公會 衣服皆錦繡金銀以自飾. 大加主簿頭著幘 如幘而無餘 其小加著折風 形如弁” (『三國志』한국사DB 卷30, 魏書 烏丸鮮卑東夷傳30, p.844)).
③“吳書曰 初 張彌·許晏等俱到襄平 … (公孫)淵欲圖彌·晏 … 張群·杜德·黃疆等及吏兵六十人 置玄菟郡. … 旦·疆別數日 得達句麗 因宣詔於句麗王宮及其主簿 詔言有賜爲遼東所攻奪” (『三國志』한국사DB 卷47, 吳書 吳主傳2, pp.1139~1140).
닫기
한의 주부는 군 태수부의 속관 즉 한 제국의 말단 관리에 불과했지만, 고구려의 주부는 고구려 초기의 관등한국사DB 조직에서 중핵적 위치에 있던 관이었던 것이다. 이로 보아 고구려의 주부는 중국 관제를 그대로 습용한 것이 아니라 그 명호와 형식을 빈 관이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상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키백과한국사DB·고추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키백과·우태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한국사DB’ 등은 고구려 고유의 관으로 보여진다. 이 점에서 고구려는 일찍부터 고유의 관제와 더불어 중국의 관료조직에 연원을 둔 관으로 관등조직을 편성했던 것이다.
또한 C-2 기록에서 ‘제가들이 가신처럼 임명한 사자·조의·선인의 명단을 왕에게 보고했다’는 것은 그 명단이 문서로 보고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즉 한자(漢字)를 사용한 문서행정(文書行政), 한의 그것처럼 완숙한 단계의 것일 수는 없지만 적어도 고구려가 일찍부터 한자를 사용한 관료행정을 시작하고 있었음을 시사한다.주 045
각주 045)
李成珪(2003), 「韓國 古代國家의 形成과 漢字 受容」 『韓國古代史硏究』 32RISS.
닫기
한 군현과의 접촉에서 비롯된 자극과 필요성은 고구려 국내 통치체제에서 문서행정의 시행을 촉발하였던 것이다.주 046
각주 046)
고구려가 어째서 이들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여겼으며 시행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목표는 무엇이었을까 궁금하다. 이 의문은 군현을 두고 그 지배력의 확대를 기도하는 한 제국에 대해, 고구려 등 인접세력들이 취할 수 있는 방책은 무엇이었을까 하는 질문으로 대체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축출해 낼 수 없는 현실에서 중국에 대한 효과적인 저항은 아마도 그것을 모델로 하는 국가체제를 서둘러 마련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이에 대해서는 후술.
닫기

그런데 이상에서 살펴본 변화상은 모두 한의 문물로부터 비롯된 것이지만, 위신재(威信財)처럼 소유와 동시에 그 가치를 발휘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한 군현의 운영을 통해 주부 등의 업무분장과 문서행정의 필요성을 자각했다고 하더라도, 도입과 시행을 위해서는 군현제도를 이해하고 한자로 문서를 작성할 수 있어야 하였다. 앞서 살핀 한 문물의 수용에는 이러한 지식을 가진 식자층(識者層)의 보유가 전제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고구려는 한자를 습득하고 문서행정을 경험한 식자층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었을까.주 047
각주 047)
漢은 漢人의 국경출입을 엄격히 통제하였으며, 철기를 비롯한 중요 전략물자의 유출은 원칙적으로 엄금하였다. 이에 낙랑군 등 군현은 군현민의 출입은 물론 철기를 비롯한 중국의 문물과 선진기술이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철저히 통제하였다(이성규(2006), 앞의 글, 123~124쪽). 이와 관련하여 군현이 고구려에 제공한 문물이 ‘鼓吹技人’한국사DB ‘印綬衣幘’한국사DB이었다는 사실로 보아 한자문화나 정치제도 등은 선진 기술에 속하는, 전략적 문물이었다고 생각된다.
닫기

『後漢書』한국사DB에는 122년 경의 일로서 고구려가 군현에 침입하여 포로로 데려간 군현민이 수천에 달하고 있다는 지적을 전한다.주 048
각주 048)
“(建光二年) 遂成還漢生口 詣玄菟降 詔曰遂成等桀逆無狀 當斬斷葅醢 以示百姓 幸會赦令 乞罪請降. 鮮卑·濊貊連年寇鈔 驅略小民 動以千數 而裁送數十百人 非向化之心也. 自今已後 不與縣官戰鬪而自以親附送生口者 皆與贖直 縑人四十匹 小口半之.” (『後漢書』 卷85, 東夷列傳75, p.2815한국사DB).
닫기
고구려는 군현과의 군사적 충돌을 통해 군현민을 확보해 나갈 수 있었던 것이다. 또한 현도군위키백과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호구수(戶口數)는 후한시대에 들어서 급감하였는데주 049
각주 049)
당초 45,006戶한국사DB 221,845口의 현도군(제2현도군 시기)이 『後漢書』에는 1594호한국사DB 43,163구로 전하고 있는 것이다.
닫기
이 역시 고구려가 군현 영역을 잠식해 들어간 사정과 관련이 있다고 보인다. 이로 보아 고구려가 필요로 하였던 한 문물의 식자층을 확보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을 것이다.
바로 여기에 군현민들이 고대 동아시아 세계의 형성과정에 기여한 부분이 있다고 보인다. 이들은 군현지배를 거치면서 한화되어가고 있던 존재들이라는 점에서 고구려가 한자를 수용하고 문서행정과 관제를 도입하는데 필요한 최적의 매개자였던 것이다.주 050
각주 050)
이와 관련하여 최근 경기 일원에서 늘고 있는 낙랑계 유적·유물과 이에 대한 이해를 덧붙이고 싶다. 金武重은 다량의 낙랑계 유물이 나온 華城 旗安里유적을 製鐵유적이라고 파악하고 제철기술을 가진 낙랑 工人집단의 이주를 상정하고 있다(金武重(2004), 「考古資料를 통해서 본 百濟와 樂浪의 交涉」 『湖西考古學』 11RISS). 이러한 이해를 좇는다면 이 유적은 낙랑 군현민이 고구려 외에 백제의 국가적 성장에도 기여했음을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닫기
특히 한자의 수용은 거기에 그치지 않고 한자를 매개로 중국의 학술·문화·제도·사상을 배우게 되고 유교를 비롯한 정치제도로서의 율령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키백과, 한역불교(漢譯佛敎)를 수용하는 데까지 이른다.주 051
각주 051)
이성시 지음·박경희 옮김(2001),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만들어진 고대』, 삼인, 139쪽.RISS
닫기
이 점에서 고구려가 한자를 수용하고 초보적이나마 문서행정을 실시했다는 것은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고구려가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일원으로 자리하게 되는 계기였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한편 무제(武帝)위키백과의 사후, 한의 대외정책은 재정 부담이 과중하고 토착민의 저항을 받는 변군(邊郡)을 축소 또는 폐지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이에 따라 군현과 그 바깥의 세력 간의 관계도 형식적으로는 군현의 관할 아래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책봉·조공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의 외교관계로 변하였다. 이러한 양자의 관계 속에서 고구려는 관할 군의 변경을 요구하거나 자의적인 탈퇴와 복귀를 반복하였다.주 052
각주 052)
①“遣使如漢貢獻方物 求屬玄菟” (『三國史記』한국사DB 卷15, 高句麗本紀3, 太祖大王 59年條).
②“元初五年 復與濊貊寇玄菟 攻華麗城” (『後漢書』한국사DB 卷85, 東夷列傳75, p.2814).
닫기
이것은 고구려가 변군체제의 맥락을 간파하고 그에 걸맞는 대외전략을 갖추고 있었음을 의미하는 아닐까. 군현과의 교통을 국왕이 독점함으로써 한의 분리통제책을 무산시켰다는 사실이 이를 말하여준다. 뒤에 가서는 조위(曹魏)위키백과와 손오(孫吳)위키백과의 대결 국면 속에서주 053
각주 053)
공손씨세력과 고구려의 향배를 두고 曹魏의 東方政策과 孫吳의 책동이 전개되었음은 다음의 글을 참조하라.(이성제(2007), 「위진남북조의 ‘요동’인식과 고구려 조위의 동방경략과 그 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 『중국의 변강 인식과 갈등』, 한신대출판부RISS).
닫기
, 고구려가 불필요한 충돌을 피하고 국가적 성장을 이룩하기 위해 다각적인 외교가 전개되어야 하였던 것이다. 만일 그러하다면 이 시기 대중외교(對中外交)가 활발하게 전개될 수 있었던 배경에도 군현민의 역할을 상정하여 볼 수 있다고 여겨진다.주 054
각주 054)
이와 관련하여 참고해 볼 수 있는 사례가 한 文帝위키백과시기 匈奴위키백과 單于위키백과의 곁에서 흉노를 위해 봉사했던 漢人 中行說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의 일화이다(『史記』 卷110, 匈奴傳). 그가 흉노에 기여했던 바는 여럿이 전하지만, 그가 한의 사신을 상대하여 흉노의 국가적 이익을 도모했다는 점에 관심이 간다.
닫기


  • 각주 030)
    “樂浪朝鮮民犯禁八條 相殺以當時償殺 … 相盜者男沒入爲其家奴 女子爲婢 欲自贖者 人五十萬. 雖免爲民 俗猶羞之 嫁取無所讎 … 其田民飮食以籩豆 都邑頗放效吏及內郡賈人 往往以杯器食” (『漢書』 卷28下, 地理志8下, 燕地條, p.1658). 바로가기
  • 각주 031)
    철제무기가 부장되고 목곽(木槨)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을 채용하던 초기의 단계에서 점차 풍부한 한식 유물이 부장되었다. 특히 낙랑군 조선현성조선현성북한문화재자료관위치의 남쪽에는 2천 여기 이상의 무덤이 남아 있는데, 여기에서 한대의 박산로우리역사넷·칠기·동기·옥기·철기·장신구·문방구와 청동거울 등 정교하게 만들어진 각종 부장품들이 나왔다. 바로가기
  • 각주 032)
    이러한 모습을 가장 잘 보여주는 자료로 창원 다호리문화재청문화재청위치(昌原 茶戶里) 1호분을 들고 싶다. 여기에서는 다섯 자루의 붓문화재청과 목간(木簡) 글씨를 깎아내는 철도자(鐵刀子)가 나와, 한사군 설치 이후 한자가 본격적으로 유입되었고, 이에 따른 문자생활이 한반도 남부지역에까지 확산되고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다(송기호(2002), 「고대의 문자생활 비교와 시기구분」『강좌 한국고대사』 5(문자생활과 역사서의 편찬), 7~8쪽RISS). 바로가기
  • 각주 033)
    “(樂浪)郡初取吏於遼東”(『漢書』한국사DB 卷28下, 地理志, p.1658). 바로가기
  • 각주 034)
    권오중(2004), 「중국사에서의 낙랑군」 『한국고대사연구』 34, 29~30쪽.RISS 바로가기
  • 각주 035)
    권오중(2004), 앞의 글, 29쪽. 바로가기
  • 각주 036)
    尹龍九(1990), 「樂浪前期 郡縣支配勢力의 種族系統과 性格」 『歷史學報』 126, 11~12쪽RISS, 앞서 언급했던 평양 일대의 분묘들은 바로 이들의 경제적 부를 과시하는 것이었다. 바로가기
  • 각주 037)
    “巴·蜀 … 遼東·樂浪 周時被髮椎髻 今戴皮弁 周時重譯 今吟詩書” (『論衡』 恢國篇). 관련 설명은 이성규의 연구를 참조(이성규(2006), 「중국 군현으로서의 낙랑」 『낙랑 문화 연구』 38쪽). 바로가기
  • 각주 038)
    “漢時賜鼓吹技人 常從玄菟郡受朝服衣幘 高句麗令主其名籍. 後稍驕恣 不復詣郡 于東界築小城 置朝服衣幘其中 歲時來取之 今胡猶名此城爲幘溝漊. 溝漊者 句麗名城也.” (『三國志』 卷30, p.843). 바로가기
  • 각주 039)
    “伐朝鮮 殺滿孫右渠 分其地爲四郡 以沃沮城爲玄菟郡 後爲夷貊所侵 徙郡句麗西北 今所謂玄菟故府是也” (『三國志』한국사DB 卷30, p.846). 바로가기
  • 각주 040)
    노태돈(1999), 「부체제의 성립과 구조」 『고구려사 연구』 사계절, pp.118~121RISS. 다만 이 글에서는 책구루의 설치와 운용시기에 대해 1~2세기의 일로 보고 있으나, 기원전 75년 이후의 일로 보는 연구도 있다(윤용구(2007), 「고구려의 흥기와 幘溝漊」 『고구려의 역사와 대외관계』, 서경문화사RISS). 바로가기
  • 각주 041)
    “冊府元龜云 高句麗 後漢時其國置官 有相加對盧沛者古鄒大加主簿優台使者皁衣先人”(『三國史記』 卷40, 雜志9, 官職 下). 바로가기
  • 각주 042)
    “諸大加 亦自置使者·皁衣·仙人 名皆達於王” (『三國志』한국사DB 卷30, 魏書 烏丸鮮卑東夷傳30, p.843). 바로가기
  • 각주 043)
    이성규(2006), 앞의 글, 36~37쪽. 바로가기
  • 각주 044)
    ①“五年 王遣大加優居·主簿然人等 將兵助玄菟太守公孫度 討富山賊” (『三國史記』한국사DB 卷16, 高句麗本紀4, 新大王條).
    ②“其公會 衣服皆錦繡金銀以自飾. 大加主簿頭著幘 如幘而無餘 其小加著折風 形如弁” (『三國志』한국사DB 卷30, 魏書 烏丸鮮卑東夷傳30, p.844)).
    ③“吳書曰 初 張彌·許晏等俱到襄平 … (公孫)淵欲圖彌·晏 … 張群·杜德·黃疆等及吏兵六十人 置玄菟郡. … 旦·疆別數日 得達句麗 因宣詔於句麗王宮及其主簿 詔言有賜爲遼東所攻奪” (『三國志』한국사DB 卷47, 吳書 吳主傳2, pp.1139~1140). 바로가기
  • 각주 045)
    李成珪(2003), 「韓國 古代國家의 形成과 漢字 受容」 『韓國古代史硏究』 32RISS바로가기
  • 각주 046)
    고구려가 어째서 이들의 도입이 필요하다고 여겼으며 시행을 통해 이루고자 했던 목표는 무엇이었을까 궁금하다. 이 의문은 군현을 두고 그 지배력의 확대를 기도하는 한 제국에 대해, 고구려 등 인접세력들이 취할 수 있는 방책은 무엇이었을까 하는 질문으로 대체하여 볼 수 있을 것이다. 축출해 낼 수 없는 현실에서 중국에 대한 효과적인 저항은 아마도 그것을 모델로 하는 국가체제를 서둘러 마련하는 것이 아니었을까. 이에 대해서는 후술. 바로가기
  • 각주 047)
    漢은 漢人의 국경출입을 엄격히 통제하였으며, 철기를 비롯한 중요 전략물자의 유출은 원칙적으로 엄금하였다. 이에 낙랑군 등 군현은 군현민의 출입은 물론 철기를 비롯한 중국의 문물과 선진기술이 바깥으로 유출되는 것을 철저히 통제하였다(이성규(2006), 앞의 글, 123~124쪽). 이와 관련하여 군현이 고구려에 제공한 문물이 ‘鼓吹技人’한국사DB ‘印綬衣幘’한국사DB이었다는 사실로 보아 한자문화나 정치제도 등은 선진 기술에 속하는, 전략적 문물이었다고 생각된다. 바로가기
  • 각주 048)
    “(建光二年) 遂成還漢生口 詣玄菟降 詔曰遂成等桀逆無狀 當斬斷葅醢 以示百姓 幸會赦令 乞罪請降. 鮮卑·濊貊連年寇鈔 驅略小民 動以千數 而裁送數十百人 非向化之心也. 自今已後 不與縣官戰鬪而自以親附送生口者 皆與贖直 縑人四十匹 小口半之.” (『後漢書』 卷85, 東夷列傳75, p.2815한국사DB). 바로가기
  • 각주 049)
    당초 45,006戶한국사DB 221,845口의 현도군(제2현도군 시기)이 『後漢書』에는 1594호한국사DB 43,163구로 전하고 있는 것이다. 바로가기
  • 각주 050)
    이와 관련하여 최근 경기 일원에서 늘고 있는 낙랑계 유적·유물과 이에 대한 이해를 덧붙이고 싶다. 金武重은 다량의 낙랑계 유물이 나온 華城 旗安里유적을 製鐵유적이라고 파악하고 제철기술을 가진 낙랑 工人집단의 이주를 상정하고 있다(金武重(2004), 「考古資料를 통해서 본 百濟와 樂浪의 交涉」 『湖西考古學』 11RISS). 이러한 이해를 좇는다면 이 유적은 낙랑 군현민이 고구려 외에 백제의 국가적 성장에도 기여했음을 보여주는 실례가 된다. 바로가기
  • 각주 051)
    이성시 지음·박경희 옮김(2001),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만들어진 고대』, 삼인, 139쪽.RISS 바로가기
  • 각주 052)
    ①“遣使如漢貢獻方物 求屬玄菟” (『三國史記』한국사DB 卷15, 高句麗本紀3, 太祖大王 59年條).
    ②“元初五年 復與濊貊寇玄菟 攻華麗城” (『後漢書』한국사DB 卷85, 東夷列傳75, p.2814). 바로가기
  • 각주 053)
    공손씨세력과 고구려의 향배를 두고 曹魏의 東方政策과 孫吳의 책동이 전개되었음은 다음의 글을 참조하라.(이성제(2007), 「위진남북조의 ‘요동’인식과 고구려 조위의 동방경략과 그 역사적 의미를 중심으로 」 『중국의 변강 인식과 갈등』, 한신대출판부RISS). 바로가기
  • 각주 054)
    이와 관련하여 참고해 볼 수 있는 사례가 한 文帝위키백과시기 匈奴위키백과 單于위키백과의 곁에서 흉노를 위해 봉사했던 漢人 中行說중국철학서전자화계획의 일화이다(『史記』 卷110, 匈奴傳). 그가 흉노에 기여했던 바는 여럿이 전하지만, 그가 한의 사신을 상대하여 흉노의 국가적 이익을 도모했다는 점에 관심이 간다.  바로가기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중국 군현세력 유입과 고구려·삼한 자료번호 : edeah.d_0002_001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