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군장사회 발전단계

2. 군장사회 발전단계

기원전 2천년기 말에 등장하는 위영자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문화(魏營子文化)는 청동예기(靑銅禮器)와 무기를 포괄하는 고고학적 문화로서 대릉하(大凌河)위치 유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동 문화에 해당하는 고고학 자료로서 청동기가 매납되는 제사유적이나 부장되는 무덤이 다수 확인된 바 있다.
매납유적에서 출토하는 청동기는 전부 제사용으로 사용되는 각종 용기이다. 이들 청동예기는 은말주초에 속하는 것으로 명문의 내용으로 보아 중원지역에서 제작된 것이다. 이들 청동기는 연산 남쪽과 연계된 세력이 요서지역으로 진출하면서, 아니면 요서의 토착세력이 연산남쪽으로 진출하여 반입한 것이라는 상반된 의견이 있다.
앞서 위영자문화와 달리 그 대부분 요서지역에서 자체 생산되는 청동기를 갖추고 있는 고고학적 문화가 하가점상층문화(夏家店上層文化)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와 십이대영자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북한문화재자료관위치문화(十二台營子文化)이다.
하가점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상층문화는 노로아호산위치 이북의 요하 상류를 중심으로 하는데, 영성(寧城) 남산근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유적과 소흑석구(小黑石溝)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 유적으로 대표되는 남산근유형과 극십극등기(克什克騰旗) 용두산(龍頭山)중국과학원위치 유적을 표지로 한 용두산 유형이 있다. 그 연대는 용두산유형이 기원전 11~10세기, 남산근유형의 전기가 기원전 9~8세기, 남산근유형의 후기가 기원전 7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용두산 유적에서는 확인된 1기의 무덤에서는 무기로 공병식동검(銎柄式銅劍)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 1점, 화살촉 2점, 공구로 도끼, 끌, 송곳, 도자 각 1점, 장식품으로 포(泡), 연주원형식(聯珠圓形飾), 키모양 장식, S형식 등의 청동기가 수습되었다.
소흑석구 유적은 수년간 걸쳐 대형석곽묘 2기를 비롯해, 석관묘 50기, 토광묘 21기가 조사되었다(그림 14). 대형석곽묘(大形石槨墓) 8501호 무덤은 조사당시 이미 파괴되어 정확한 구조를 확인하기 어렵다. 부장된 청동기를 보면 우선 중원계 용기로서, 방정(方鼎)공자학원(중국) 1점, 방궤(方簋) 1점, 원궤(圓簋)고궁박물관(타이완) 1점, 뢰(礨) 1점, 호 1점, 화(盉) 1점, 준(尊) 1점, 이(匜) 7점, 수개(盨蓋) 1점, 재지계 용기로서 환이력(環耳력) 1점, 포 1점, 두(豆) 2점, 육련두관(六聯豆罐) 1점, 조릉관(爪稜罐) 1점, 고형기 1점, 고복관 1점, 소관 2점, 쌍련관 1점, 4련관 1점, 작(爵)위키백과 2점, 시(匙) 2점, 주머니모양 그릇 2점 등이 있다. 그밖에 무기로 공병직린검(銎柄直劍) 3점, 비파형단검(琵琶形短劍) 2점, 직린단검 1점을 비롯하여 총 28점, 차마구 27점, 생활공구 58점, 장식품 315점의 청동기가 전한다.
그림 14 소흑석구무덤(85AII-2호묘)
9601호 무덤 또한 도굴된 후 조사된 것으로 부장된 청동유물을 보면 용기로는 중원계로서 ‘사도명’(師道銘) 궤(簋) 1점, 삼족궤(三足簋) 1점, 반(盤) 1점, 정 1점, 재지계로서 두 4점, 고형기(觚形器) 3점, 반 2점, 6연관(六聯罐) 1점, 4연관 1점, 이배(耳杯) 1점, 작(勺) 3점, 시(匙) 2점이 있다. 무기로는 투구 1점을 비롯하여 검(劍) 2점, 검초(劍鞘) 1점, 과(戈) 1점, 화살촉 185점이 있고, 생활공구로 3점, 차마구로 140점이 전한다.
남산근(南山根)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 무덤의 부장품 조합은 기본적으로 소흑석구 유적의 그것과 같다. 우연히 발견된 남산근 101호 무덤의 부장유물은 대부분 청동기로서, 용기가 10점, 무기가 65점, 공구 22점, 차마구 6점, 동포 284점 등의 장식품이 있다. 용기의 상당수는 중원계로서 보(簠) 1, 궤 1, 정 3, 부(瓿) 1, 그리고 재지계로서 두 1, 쌍련관(雙聯罐), 조병작(祖柄勺) 2점이 있다. 병기로서 비수식(匕首式) 검 6점, 비파형단검(琵琶形劍) 1점과 함께 총 54점, 공구 22점, 거마구 6점이 전한다(그림 15).
그림 15 남산근유형의 병기
- 1, 2, 3, 4, 7, 9 ; 영성 남산근
5, 6, 10, 12 ; 영성 소흑석구
8 ; 영성 초가구
11 ; 객좌 산만자
13 ; 적봉 홍산후
십이대영자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북한문화재자료관위치문화는 조양(朝陽) 십이대영자 무덤 유적을 표지로 한다. 그 공간적 범위는 대릉하위치 중상류를 중심으로 하고, 요하동쪽으로까지 확대된다. 조기는 화상구(和尙泃), 수천성자(水泉城子)로 대표되는데 기원전 10~8세기, 중기는 십이대영자와 남동구(南洞泃)위치로 대표되는데 기원전 7~6세기로 편년된다. 그리고 후기는 삼관전자(三官甸子)위치와 노야묘(老爺廟)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로 대표되는데 기원전 5~4세기경으로 추정되는 바, 철기문화가 수용되기 시작하는 전국시대에 해당한다.
십이대영자유적의 1호묘는 석곽 목관묘로서 40~50세 전후의 남녀 인골이 합장되어 있었다. 부장유물은 대부분 청동기로서 무기로 비파형단검 2점, 화살촉 2점, 공구로 도끼 1점, 끌 1점, 송곳 1점, 낚시 3점, 마구로 표형기 6점, 절약 12점, 장식품으로 패형식 9점, 경형식 2점, Y자형기 1점 등이 부장되었다.
2호 묘에서는 무기로 단검 2점, 화살촉 14점, 공구로 도끼 1점, 환수도 1점, 송곳 1점, 마구로 표 5점, 절약 20점, 십자형금구(十字形金具) 12점, 장식품으로 장관상구(長管狀釦) 1, 단추 10점, 유환장판형금구(有環長板形金具) 1점, 쌍훼문금구(雙虺文金具) 1점 등의 청동기가 전한다.
요서지역의 소흑석구나 십이대영자무덤 수준으로 청동기를 부장한 후기 군장의 무덤은 기원전 1천년기 중반에 이르러야 요동지역에 등장한다. 성인 남성이 묻힌 심양 정가와자(鄭家窪子)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위치 6512호 무덤이 바로 그것으로 다량의 무기와 마구, 장식품, 의기 등의 청동기가 부장된다. 동 무덤에는 무기로는 동검과 활촉 뿐이고, 십이대영자무덤과 마찬가지로 중원계의 제사용기와 무기는 물론 북방계의 청동 무기나 장식품이 거의 부장되지 않는다(그림 16).
그림 16 심양 정가와자 6512호 무덤과 부장유물(이후석 제공)
한반도에서는 이러한 군장급의 무덤은 기원전 4~3세기경 충남 아산 남성리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치, 예산 동서리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위치, 기원전 3~2세기경에는 전남 함평 초포리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국립광주박물관위치, 화순 대곡리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문화재청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RISS위치 등지에서 확인된다. 남성리 무덤의 경우 동검국가문화유산포털 10여점을 비롯하여 동경과 방패형동기 등의 이형동기, 함평 초포리의 경우 동검, 동모, 동과등의 청동무기와 여러점의 청동거울을 비롯하여, 팔주령, 간두령 등과 같은 방울우리역사넷 무구가 함께 부장되었다(그림 17).
그림 17 남성리유형의 청동기
- 1, 3, 5, 6, 8 ; 예산 동서리
2, 4 ; 아산 남성리
7 ; 대전 괴정동.
일본 구주지역에서 처음 군장무덤으로 인정되는 사례가 후쿠오카 요시다케 다카키[吉武高木]문화유산DB(일본)위치 3호 적석목관묘로서 동검, 동모, 동과, 동경이 각 1점씩 부장되어 있는 바, 무덤의 양식과 부장유물이 한국계인 것이 주목된다.
일본에서는 군장사회의 등장을 입증하는 취락 유적으로 기원전 1세기 이후 야요이문화 중후기에 해당하는 사가현 요시노가리[吉野ケ里]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요시노가리역사공원위치 유적의 사례가 있다. 길이 3㎞ 넘는 환호(環濠)문화유산연구지식포털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로 둘러싸인 내부에 지배층의 공간이 따로 마련된 내호 시설이 있고, 고상가옥위치 구조의 신전을 갖추고 있다. 신전건물 가까이에 선대 엘리트들이 묻힌 옹관 분구묘가 구축되어 있어, 후기 군장사회로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군장사회 발전단계 자료번호 : edeah.d_0001_0030_0050_0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