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자 책봉(冊封)을 청하는 원주(元奏) 1725년 4월 25일(음) 이미지
황후에게 보내는 방물단자(方物單子) 1725년 4월 25일(음) 이미지
위의 단자에 관한 자문(咨文) 1725년 4월 25일(음) 이미지
진주(陳奏) 주청(奏請)한 방물(方物)을 돌려보낼 것을 준청( ... 1725년 8월 10일(음) 이미지
이등백(二等伯) 등이 와서 세자를 책봉(冊封)한다는 고명(誥命 ... 1725년 9월 23일(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대해 사례하는 표문(表文) 1726년 2월 8일(음) 이미지
조선에서 올린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26년 5월 20일(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방물을 조사하여 회수한다는 예부의 자문(咨文) 1726년 6월 3일(음) 이미지
세자(世子)의 책봉(冊封)을 청하는 원(元) 주문(奏文) 1737년 7월 25일(음) 이미지
진주(陳奏) 주청(奏請)한 방물(方物)을 준청(准請) 및 이준 ... 1737년 11월 12일(음) 이미지
산질대신(散秩大臣) 양태(襄泰) 등이 와서 고명(誥命)과 채폐(彩幣)를 내린다는 칙유(勅諭) 1737년 12월 7일(음) 이미지
관원을 파견해 책봉(冊封)을 알리는 예부의 자문(咨文) 1738년 2월 (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38년 7월 25일(음) 이미지
청한전체금인(淸漢篆體金印) 습봉(襲封)시에 별도로 주조하여 바꾸어 반포한다는 예부의 자문(咨文) 1748년 11월 21일(음) 이미지
조선의 회자(回咨) 1749년 6월 18일(음) 이미지
서둘러 왕비를 책봉(冊封)해주길 청하는 조선의 주문(奏文) 1759년 10월 27일(음) 이미지
황후에게 보내는 방물단자(方物單子) 1759년 10월 27일(음) 이미지
위의 단자(單子)에 관한 자문(咨文) 1759년 10월 27일(음) 이미지
주청(奏請)한 방물(方物)을 돌려보낼 것을 준청(准請)하였다고 알린 예부의 자문(咨文) 1760년 2월 15일(음) 이미지
관원을 파견해 책봉(冊封)을 알리는 예부의 자문(咨文) 1760년 3월 28일(음) 이미지
산질대신(散秩大臣) 세습일(世襲一) 등이 와서 고명(誥命)과 채폐(彩幣)를 내린다는 칙유(勅諭) 1760년 2월 6일(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60년 7월 24일(음) 이미지
조선에서 올린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60년 11월 (음) 이미지
책봉(冊封) 방물(方物)을 돌려보내 준 것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61년 10월 27일(음) 이미지
책봉방물(冊封方物)을 돌려 보내준 것에 사례한 표문(表文) 1762년 2월 16일(음) 이미지
세손(世孫)의 책봉(冊封)을 청하는 원주(元奏) 1763년 2월 12일(음) 이미지
진주(陳奏) 주청(奏請)한 방물(方物)을 준청(准請) 및 이준 ... 1763년 5월 16일(음) 이미지
고명(誥命)과 채폐(彩幣)를 내린다는 칙유(勅諭) 1763년 7월 21일(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 1763년 11월 2일(음) 이미지
책봉(冊封)에 사례하는 표문(表文)에 관한 예부의 자문(咨文) 1764년 2월 21일(음)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