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도록·보고서

소결

3) 소결

지금까지 이번의 공동 조사 시 출토된 안학궁성 유물과 김일성종합대학 소장품 중 평기와 류와 와당류를 중심으로 소개하였으며, 북한 학계의 고구려 기와에 대한 연구 동향을 정리하였다. 아울러 고구려 평기와 및 와당의 변천 과정, 기와 색깔의 상징적 의미 등을 기존의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보고문에서 안학궁성 출토 유물 의 세부적인 양상이나 시기 구분, 주변 유적 출토품과의 비교 등은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였다. 이러한 점은 앞으로 좀더 면밀한 검토를 통해 보완하도록 하겠다. 이번 조사는 제한된 여건에서 이루어기는 하였으나 고구려 유물에 대한 보다 폭넓은 이해를 갖는 작업이었으며 무엇보다도 남북 공동 조사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데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이제 앞에서 언급한 내용을 몇 가지로 정리하며 글을 맺도록 하겠다.
[사진 101] 안학궁성 출토 토기
첫째, 안학궁성에서는 기와 류와 토기 류 등이 출토되었다. 기와 류는 연화문 와당, 평기와, 착고 등이며 토기 류는 회백색 니질의 토기 류, 대상 파수 등이 확인되었다. 연화문 와당은 연꽃 무늬 사이에 1~3줄의 복선(간막이)이 안쪽을 구획하는 문양으로 4엽과 6엽, 8엽이 많은 수를 차지한다. 복선문은 3줄의 직선이 하나의 조를 이루다가 2줄의 직선으로 변화하고 후에는 1줄의 복선이 하나의 조를 이루게 된다. 이때 중방이나 주연 부와 서로 이어지지 않고 분리되는 점이 고구려 평양성기의 특징 중의 하나이다. 이처럼 안학궁성에서는 비교적 이른 시기의 양식부터 다양한 고구려 와당이 나타나고 있으며, 복선의 양끝이 망치 모양이나, 화살모양, 버섯 모양 등으로 변형되는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는 고구려 왕성으로의 면모를 보여주는 고고학적 자료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복선이 없는 연화문 와당은 연판 사이에 보조 문양을 배치한 경우와 배치하지 않는 경우로 나누어진다. 이들 문양 구성의 변화 역시 국내성기에서 평양성기로 이어지는 문화적 전통을 그대로 보여준다고 하겠다.
둘째, 승문(노끈 무늬) 평기와는 회청색 계통과 적색 계통을 모두 확인하였다. 이중 회청색 계통의 기와 류는 국내성기의 전통이 평양으로 천도한 이후에도 계속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로 여겨진다. 국내성 지역에서는 왕릉 급 무덤떼에서 회청색 계통의 승문기와 류가 주로 출토되며 성곽과 건물 터에서는 적색 계통의 격자문 기와 류가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적이다. 이들 유물은 대성산성, 토성리성, 정릉사지, 금강사지 등 평양 지역의 중요한 고구려 유적에서도 출토된 바 있어 상호 비교 연구에 좋은 자료를 확보하였다고 할 수 있다.
셋째, 이러한 특징은 집안 지역에서 평양 지역으로 도읍을 옮기면서 왕성인 안학궁성을 조성하였다는 결정적인 고고학적 자료로 판단된다. 즉 안학궁성의 조성 시기를 알려주는 귀중한 자료로써 이번 남북공동조사의 귀중한 성과 중의 하나로 평가된다고 할 수 있다. 그 동안 일본 학자나 일부 남한 학계에서는 안학궁성을 언제 만들었느냐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였으나, 이번에 확인된 고구려 유물들을 통해 평양 천도 후 고구려 왕성의 면모를 유물로서 증명해주는 계가를 올렸다고 하겠다. 이번 남북 공동 조사의 성과를 바탕으로 성곽과 건물 터 그리고 출토 유물 에 대한 종합적인 비교 연구가 좀 더 폭 넓은 방향에서 다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북한에서의 고구려 기와 연구는 남한보다 앞서 시작되었고 연구 경향 역시 현지의 자료를 대상으로 실시하였기 때문에 같은 시기 남한의 연구보다 생동감 있고 정밀한 연구가 가능했다. 이는 북한에서의 고구려 기와 연구가 유물을 접할 수 있는 지역적인 우위 때문이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식민사학의 영향을 비교적 일찍 극복한 북한 학계의 특성이 기와 연구에서도 드러난 것이 아닐까 추정된다. 반면에 남한에서의 연구는 연구대상을 항상 간접적으로 접해야 한다는 단점 때문에 북한의 기와 연구와 격차를 보였던 것은 사실이다. 따라서 이제 남·북한의 기와 연구는 북한의 풍부한 고고학적 자료와 남한의 연구 방법론이 결합된 형태의 연구가 필요한 시점이 도래하였다고 여겨진다.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결 자료번호 : cr.d_0006_0010_0040_004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