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도록·보고서

소결

3) 소결

이번 안학궁 남궁터 내곽에 대한 조사는 크게 3D레이저 스캐닝을 이용한 건물 터의 평면 구조와 배치 상황에 대한 정확한 자료 확보와 이를 바탕으로 한 안학궁 평면 배치구조의 재검토를 실시한 것과 남궁 터 제1궁전 터와 제3궁전 터의 기단 부에 대한 시굴을 통한 기단 축조 방식에 대한 자료 확보라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 안학궁터 평면 배치구조 조사의 성과 ●
우선 정밀 측량 기기를 이용한 안학궁 터에 대한 조사에서는 남문 터에서 시작하여 중궁지역에 이르기까지의 종축선 정보를 확보하여 건물 터가 위치하는 대지 높낮이의 변화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안학궁의 조영 당시 지형을 어떻게 이용하였는지에 대한 설명을 보다 명확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더불어 남궁 제1호 궁전 터와 주위를 둘러싼 회랑 터로 대표되는 남궁 중심곽에 대한 정확한 삼차원 좌표를 확보하여 향후의 조사와 연구, 그리고 유적의 복원에 기여할 수 있는 기본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기존의 유구 도면과 새롭게 만들어진 실측 도면을 어떻게 연결하여 이해할 것인가 하는 부분이다. 1973년도 보고서에는 항공 사진과 더불어 유구 도면이 비교적 자세하게 제시되고 있는데, 이것을 금번의 조사 결과 만들어진 실측 도면과 비교를 해 보았다. 우선 제1호 궁전 터에 대한 유구 도면에서는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그 규모가 상당한 것에 미루어 볼 때 비교적 정확하다고 할 수 있었다. 반면에 회랑까지 포함한 유구 도면의 경우 그 차이가 11m에 이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개별 건물지의 경우 어느 정도 정확하지만 그것을 하나로 통합한 도면은 부정확한 면이 많음을 보여준다. 당시 전면 평면도의 경우 개념도 중심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이를 통해 향후 보다 정확한 도면을 작성하기 위한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더불어 기존의 연구에서도 지적된 바 있었던 유구의 방향 문제는 위성사진과 지표조사를 통해 얻은 자료를 통해 볼때 좀 더 면밀한 검토가 필요함을 제기하였다. 축의 변화라든가 중복유구의 확인은 안학궁의 조성과 중건과정 대한 새로운 견해가 제시될 수 있음을 뜻하기 때문이다.
● 제1호 궁전 및 제2호 궁전 시굴 토층 조사의 성과 ●
한편 이번에 이루어진 안학궁 터 내곽에 대한 발굴은 지난 1971년까지 진행되고 1973년 정식 보고서가 나온 후 33년만에 재개된 것이다. 따라서 평면 배치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부분 밝혀져 있었기 때문에 본 조사에서는 개별 건물들의 축조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기단 부에 대한 시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남궁 터 제1호 궁전 터에서는 대형 건물 터임에도 비교적 높은 부분까지 생토층을 활용하고 그 위에 점토를 성토하여 기단을 축조하는 방식을 사용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안학궁이 위치한 지역의 특징을 활용하여 건설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3호 궁전 터에서도 기본적으로는 제1 궁전 터와 유사한 방식으로 기단을 조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제3호 궁전터의 경우 보축 혹은 중건으로 이해되는 토층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것은 큰 의미가 있다. 이는 안학궁 평면 배치구조에 대한 재검토 과정에서 확인된 중건과정의 흔적을 토층단면에서도 확인할 수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특징들은 향후 고구려 건축을 연구하고 복원하는 과정에서 많은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양정석)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소결 자료번호 : cr.d_0006_0010_0040_002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