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청계중일한관계사료

도문강(圖們江)에 월간(越墾) 조선인을 안무(按撫)하기 위한 국(局) 설치를 요청하는 군기처(軍機處)의 문서

圖們江 北岸에 최근 入籍한 越墾 조선인을 安撫하고자 임시로 局을 설치할 것을 요청합니다(請暫行設局撫輯圖們江北岸新近入籍越墾韓民).
  • 발신자
    軍機處
  • 수신자
    總理衙門
  • 날짜
    1894년 3월 19일 (음)(光緖二十年三月十九日) , 1894년 4월 24일 (光緖二十年三月十九日)
  • 문서번호
    1-4-3-01 (1878, 3295a-3299a)
三月十九日 軍機處交出長順, 恩澤鈔摺稱.
跪奏, 爲 琿春 圖們江北岸收還朝鮮流民越墾地畝, 派員淸丈, 將墾民立社編甲, 照則升科, 暫行設局撫墾緣由, 恭摺具陳, 仰祈聖鑒 事.
竊査光緖十五年間, 奴才等以琿春境內朝鮮越墾流民, 該國屢因分界遷延, 終不刷還, 擬請於無關勘界地方, 派員淸丈, 遵奉前旨, 飭令入籍爲氓, 以重邊防. 等因. 奏奉硃批.
該衙門議奏.
欽此.
旋承准總理衙門議覆.
吉林, 朝鮮界務, 前經兩次會勘, 所未能定者, 特茂山以上直接三汲泡二百餘里之圖們江發源處耳. 至茂山以下, 圖們江巨流, 天然界限. 江南岸爲該國咸鏡道屬之茂山, 會寧, 鍾城, 穩城, 慶源, 慶興六府地方. 江北岸爲吉林敦化縣, 及琿春地方. 該國勘界使亦無異說. 韓民越墾多年, 廬墓相望, 一旦盡令刷還, 此數千人失業無依, 不特情實可矜, 急切亦無辦法. 若聽其以異籍之民, 日久占住, 主客不分, 殊非久計. 且近年該處墾民以韓官越界徵租, 種種苛擾, 赴吉林控訴. 經北洋大臣李鴻章咨臣衙門有案. 誠如原奏所云:“韓員剝削民生之苦, 流民服我賦稅之輕.” 是其心悅誠服, 安土重遷, 已可槪見. 現在江源界址難剋日劃, 則無關勘辦處所, 似宜及時撫綏, 以慰流氓歸附之心. 臣等與李鴻章往復函商, 意見相同, 擬請飭下該將軍, 遴派賢員, 將淸丈升科各事宜, 妥爲經理, 因俗施敎, 務令相安, 毋任操切滋事. 所有領照納租, 歸各地方管轄. 一切詳細章程, 應由該將軍體察情形, 奏明試辦.
等因.
於十六年二月十八日, 具奏奉旨.
依議.
欽此. 咨照前來.
當經奴才等札派督理吉林, 朝鮮留吉補用知府葉聯甲, 就近兼辦淸丈越墾事務, 添派分省補用知縣程國鈞, 會同辦理. 嗣葉聯甲因有差委調省, 後派接辦商務之升用同知, 候選知縣王昌熾兼理墾務. 計自光緖十六年三月起, 至十七年七月止, 所有沿江一帶黑頂子等處, 越墾地畝均已一律丈峻, 發給印照. 據前後各員會造圖冊稟送査核, 並聲明該墾民等. 於光緖十七年, 按通省章程, 每交納大小租銀,주 001
각주 001)
여기서의 설명만으로 대조와 소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조(租)는 일반적으로 소작료를 가리키는데 관전(官田)일 경우 그 땅을 소작하면 그 소작료는 국가로 귀속된다고 보면 된다. 대조는 바로 뒤에 성으로 올려보낸다고 되어 있으므로 국가(또는 성)의 수입으로 파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조는 여기서는 지방당국의 수입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보인다.
닫기
共一錢九分八厘.주 002
각주 002)
전 ·분 ·리는 모두 은의 무게 단위로 역시 같은 무게단위인 1양의 1/10 ·1/100 ·1/1000에 해당된다.
닫기
等情. 奴才等飭, 將大租解省, 小租留支催徵書役經費. 復因圖冊多有舛錯, 駁斥更換, 曾於上年, 奴才長順, 會同北洋大臣李鴻章奏裁和龍等處通商局摺內陳明, 應俟此項圖冊繪造齊備, 再行奏報在案. 據承辦各員, 將圖冊更正呈送前來. 奴才等詳加覆, 收回越墾之地, 統建四大堡, 堡分有社, 鎭遠堡建於黑頂子, 分設八社. 於韓之慶興府對峙, 東逼於, 最爲要地. 寧遠堡建於光霽峪, 分設十三社, 於韓之鍾城對峙. 綏遠堡建於杉松背, 分設十一社, 與韓之會寧府對峙. 安遠堡建於章母得基, 分設七社, 與韓之茂山府斜對. 計四堡, 三十九社, 收撫墾民四千三百零八戶, 男女丁口二萬零八百九十九人, 統編一百二十四甲, 較定四百一十五牌, 丈報熟地一萬五千四百四十二垧주 003
각주 003)
원문은 晌(상)으로 되어 있으나 垧(상)이 정확한 표현으로, 이것은 동북 지방에서 사용하던 토지면적 단위의 명칭이다.
닫기
七畝六分,주 004
각주 004)
분(分)은 1/10무(畝)를 가리킨다.
닫기
歲徵大租銀二千七百七十九兩有奇. 此新建沿江堡社大情形, 收回戶口, 地畝, 租賦之數目也. 先是委員葉聯甲, 奉札査丈時出示曉諭, 越墾越民薙髮編籍, 據該國外署督辦閔種黙函商駐韓道員袁世凱, 轉請停止, 經該道據理答覆, 始無異詞. 而墾民中之詐者, 復聽韓官主使, 相率阻梗, 節經葉聯甲商同該國咸鏡北道 南廷順, 分別懲勸, 庶得相安無事. 蓋墾民本有二種, 其一越墾, 家屬均在北岸, 寄居日久, 廬墓相望, 素殷歸附, 一下薙髮之令, 無不樂從, 自行呈請每輸銀二錢, 以助丈地經費. 其一函雖係越墾, 而實越寓. 其家本在南岸, 隻身過江偸種, 或朝出暮歸, 或春來秋去, 半係該國官吏兵役種地之傭, 有恃不恐, 故多抗阻. 大約墾越居其半, 越寓亦居其半. 越寓之民未嘗不思樂土, 祗以家在本國, 遂不免首鼠兩端. 奴才等仍飭承辦各員, 以薙髮不髮爲去留. 現在約計各堡韓民留者十之七, 去者十之三. 其已去韓民騰出熟地, 凡與招墾地畝毗連者, 撥給華民承領耕種, 免致荒蕪. 仍將戶口劃歸招墾案內造報. 惟沿江千里, 新附之民, 如照原奏分歸琿春, 敦化旗民, 各署管轄, 誠恐相距太遠, 鞭長莫及. 上年奴才長順, 會同李鴻章奏裁通商局, 仍請酌留員司書役, 專辦交涉, 兼撫墾民, 職是之故. 顧設局撫墾, 亦屬可暫而不可常, 將來能否於適中地方, 設官分治, 再由奴才長順酌察情形, 隨時奏明辦理. 謹將各社名目, 墾地垧數, 戶口租賦, 繕具淸單, 恭呈御覽. 此次淸丈墾地, 雖止一萬五千餘垧, 而該員司書役人等挨戶稽査, 設法勸導, 建堡立社, 編甲繪圖, 跋涉哈塘泥淖之中, 備嘗雪虐風餐之苦. 且事係藩屬交涉, 措施惑當, 實與尋常淸丈荒地, 勞績不同. 所需經費, 於墾民輸助之外, 凡不敷工食, 悉由該員司, 自將薪水賠墊, 不使鄕甲書役, 稍滋擾累, 尤潔己從公. 合無仰懇天恩, 准由奴才等擇保數人, 以示鼓勵之處, 出自聖主鴻恩, 除將詳細圖冊咨呈總理衙門, 分咨戶部, 北洋大臣査覈外, 所有收還圖們江北岸韓民越墾地畝, 派員淸丈升科, 設局撥墾緣由, 謹合詞恭摺具奏, 伏乞皇上聖鑒訓示. 謹奏.
光緖二十年三月十九日, 奉硃批.:
該衙門議奏. 單倂發.
欽此.
별지: 조선인의 월간(越墾) 토지를 측량해서 얻은 자료
 

照錄:淸單

謹將收回琿春 圖們江北岸韓民越墾地畝淸丈垧數, 分社編甲, 戶口租賦數目, 繕具淸單, 恭呈御覽.
安遠堡屬:崇化 德化 上化 山溪 白金 白玉七社. 領地墾民七百四十二戶. 丈報熟地四千零九十七垧四畝四分. 應徵大租銀七百三十七兩五錢三分九釐二毫.
綏遠堡屬:白雲 白日 白鶴 對川 對山 對越 對揚 茂功 茂賞 茂德 茂官十一社. 領地墾民八百三十六戶. 丈報熟地四千零三十零垧一畝五分, 應徵大租銀七百二十五兩四錢二分七厘.
寧遠堡屬:開華 開文 開發 開運 開泰 光化 光德 光昭 光鳳 光宗 霽晴 霽霞 月朗十三社. 領地墾民一千八百五十五. 丈報熟地五千一百零垧八畝. 應徵大租銀九百十八兩一錢四分四厘.
鎭遠堡屬:輸誠 歸化 崇讓 興廉 義 敦仁 懷恩 敬信八社. 領地墾民八百七十五戶. 丈報熟地二千二百十四垧三畝七分. 應徵大租銀三百九十八兩五錢八分六厘六毫.以上, 共四堡三十九社, 領地墾民四千三百零八戶, 男女丁口二萬零八百九十九人, 統編一百二十四甲, 統計熟地一萬五千四百四十二七畝六分, 歲徵大租銀二千七百七十九兩六錢九分六厘八毫, 理合陳明.
光緖二十年三月十九日, 奉硃批.
覽.
欽此.

  • 각주 001)
    여기서의 설명만으로 대조와 소조가 무엇인지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조(租)는 일반적으로 소작료를 가리키는데 관전(官田)일 경우 그 땅을 소작하면 그 소작료는 국가로 귀속된다고 보면 된다. 대조는 바로 뒤에 성으로 올려보낸다고 되어 있으므로 국가(또는 성)의 수입으로 파악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소조는 여기서는 지방당국의 수입으로 파악되는 것으로 보인다. 바로가기
  • 각주 002)
    전 ·분 ·리는 모두 은의 무게 단위로 역시 같은 무게단위인 1양의 1/10 ·1/100 ·1/1000에 해당된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원문은 晌(상)으로 되어 있으나 垧(상)이 정확한 표현으로, 이것은 동북 지방에서 사용하던 토지면적 단위의 명칭이다. 바로가기
  • 각주 004)
    분(分)은 1/10무(畝)를 가리킨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長順, 恩澤, 李鴻章, 李鴻章, 葉聯甲, 程國鈞, 王昌熾, 李鴻章, 葉聯甲, 閔種黙, 袁世凱, 葉聯甲, 南廷順, 長順, 李鴻章, 長順
지명
琿春, 圖們江, 朝鮮, 琿春, 朝鮮, 吉林, 朝鮮, 茂山, 三汲泡, 圖們江, 茂山, 圖們江, 咸鏡道, 茂山, 會寧, 鍾城, 穩城, 慶源, 慶興, 吉林, 敦化縣, 琿春, 吉林, 朝鮮, 黑頂子, 和龍, 黑頂子, 慶興府, , 寧遠堡, 光霽峪, 鍾城, 綏遠堡, 杉松背, 會寧府, 安遠堡, 章母得基, 茂山府, 咸鏡北道, 琿春, 敦化, 圖們江, 琿春, 圖們江, 安遠堡, 崇化, 德化, 上化, 山溪, 白金, 白玉, 綏遠堡, 白雲, 白日, 白鶴, 對川, 對山, 對越, 對揚, 茂功, 茂賞, 茂德, 茂官, 寧遠堡, 開華, 開文, 開發, 開運, 開泰, 光化, 光德, 光昭, 光鳳, 光宗, 霽晴, 霽霞, 月朗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도문강(圖們江)에 월간(越墾) 조선인을 안무(按撫)하기 위한 국(局) 설치를 요청하는 군기처(軍機處)의 문서 자료번호 : cj.d_0001_0040_0030_0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