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청계중일한관계사료

월경(越境)한 촌민의 체포를 요청하는 조선국왕의 자문(咨文)과 조사를 요청하는 군기처(軍機處)의 주접(奏摺)

조선국왕이 월경한 촌민의 체포를 요청하면서, 아울러 러시아인이 경계비 부근에서 건축을 하려 하므로 吉林將軍에게 지시하여 조사・처리하게 해달라라고 요청한 咨文(朝鮮國王咨請査拏逃越村民, 竝俄人欲在近界牌處築室, 請飭吉林將軍査辦).
  • 발신자
    軍機處
  • 수신자
    總理衙門
  • 날짜
    1867년 5월 8일 (음)(同治六年五月初八日) , 1867년 6월 9일 (同治六年五月初八日)
  • 문서번호
    1-2-3-09(57, 67a-70a)
五月初八日, 軍機處交出, 禮部尙書全慶等摺稱.
爲 據咨轉奏 事.
准盛京禮部주 001
각주 001)
盛京은 後金과 淸의 都城으로 오늘날의 遼寧省 瀋陽市이다. 1625년 太祖 누르하치가 도성을 이곳 沈陽으로 옮겨 皇城을 건설하기 시작하였고, 1634년 太宗 홍타이지(皇太極)가 성경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順治元年(1644) 北京으로 수도를 옮김에 따라 盛京은 留都가 되었지만, 戶・禮・兵・刑・工 등 五部와 各部侍郞을 總管인 內大臣(乾隆 12년 盛京將軍으로, 光緖 33년 奉天巡撫로 바뀌었다)을 두어 留守하게 하였으며, 奉天이라는 이름도 추가되었다.
닫기
送到朝鮮國王咨文一件. 臣等公同閱看, 係因本年二月總理各國事務衙門具奏, “朝鮮國王請査拏逃越村民, 並俄人欲近界牌築室, 請飭下吉林將軍, 確査辦理”等因. 該國王接准部文, 咨覆轉奏. 謹抄錄原咨, 恭呈御覽.
爲此, 謹奏.
同治六年五月初七日, 軍機大臣奉旨.
[ ]
欽此.
별지: 조선국왕의 원 咨文(朝鮮國王原咨)
 
(1) 照錄朝鮮原咨.
朝鮮國王, 爲 咨覆 事.
同治六年三月十八日, 承准禮部咨.
節該. 主客司案呈.
准總理各國事務衙門謹奏.
爲 遵旨議奏 事. 同治六年二月十四日, 由軍機處交出吉林將軍富明阿等奏, 朝鮮國人前往俄國 吉心河墾地等因一摺, 軍機大臣奉旨.
該衙門知道.
欽此.
臣等正擬繕摺具奏, 請飭査辦間, 二月十八日, 復由軍機處交出, 禮部據咨轉奏, 朝鮮國王咨請査拏逃越村民一摺, 朝鮮國王咨呈俄羅斯人欲在界牌近處築室一摺. 二月十七日, 軍機大臣奉旨.
該衙門議奏.
欽此. 欽遵.
富明阿原奏內稱.
據査江恩騎尉額爾蘇勒等報稱.
本年正月初六日, 巡至琿春河口地方, 瞥見朝鮮國人, 男婦女子二百餘名, 坐車逕奔正東. 趕向査詢何往, 內有微通漢語者聲言, “現今俄羅斯招引我國人數千名, 在吉心河開墾地畝. 我國屢次挑兵, 年景歉收, 課稅加倍, 交納無力. 實難度日, 無奈棄家逃出度命.”
其時人數衆多, 吉心河又屬俄國, 若輒行阻止, 恐滋事端. 逕奔吉心河去訖.
等因.
又査朝鮮國王咨文內稱.
同治五年十月二十五・六等日,有該國慶源府所管之阿山鎭 白顔村居民尹才官等九名, 先後越江逃去. 三十日, 上國人數百爲羣, 渡江而來, 在逃諸人之妻孥・財産・牛馬之留在本村者, 盡爲搬運, 村人金應哲等六名亦全家隨往. 村民防禦之際, 爲流丸被傷者三人, 江邊防守之幕, 並被燒火三次. 冒犯諸人, 理宜一一査拏, 而疆域所界, 不敢擅便. 煩乞禮部詳照轉奏, 另飭守邊之官, 申明條例, 右項諸人, 並爲押還.
又稱.
十一月二十日, 異樣人十二名, 來到慶興府東門外, 一人以本國語音喝言, “俄羅斯將築室於界牌近處, 恐貴府驚疑, 我奉都統書, 先來通知.” 仍於當日, 渡江而去.
各等因.
臣等査, 同治三年六月初十日, 據吉林將軍景綸咨報.
內地奸民張保汰, 暗携地圖, 赴吉心河地方, 潛投俄人, 欲開銀穴. 曾見該處有高麗窩鋪四處, 內有高麗男婦五十餘人, 在吉心河開墾地畝.
等語.
嗣於四年十二月二十八日, 復據吉林將軍德英咨報.
俄人招引朝鮮國人, 比先益多, 現在吉心河地方, 聚有男婦一千數百人. 該處山坡壙野, 俱經高麗開墾. 近日又經姜姓民人, 崔姓高麗人, 同引俄官, 抵至圖們江口, 上下遙望朝鮮地勢, 繪畫地圖. 又屢向朝鮮地方官, 約求通商, 未知曾否應允.
等因. 前來.
當經臣等咨覆該將軍, “以俄人招引朝鮮開墾等處, 如在俄國本境, 祗有加意防範, 各管各境, 自未便越界往限, 如在中國內地, 自應按約阻止”等因, 各在案.
茲據富明阿奏稱.
詳査咸豊十一年分界圖載, 吉心河在紅線迤東, 係爲俄界. 是俄國開墾, 在伊本境, 中國固難越境往阻. 而朝鮮居民願赴俄界, 開墾地畝, 應由朝鮮飭禁, 中國亦未便率爾禁止. 況俄國招引朝鮮居民, 人至數千, 時至數載. 吉林巡江官弁, 僅見此次二百餘人渡江. 是其人民繞道前赴俄界, 已非一次. 朝鮮自宜早伸禁令, 以免貽患將來.
朝鮮來文所稱, “上國人數百爲羣, 渡江而來, 搬運逃人妻孥財産”一節, 臣等査, 朝鮮 慶源府琿春, 隔江遙對, 誠恐內地奸民, 爲人所引, 貪利助虐, 抑或爲朝鮮逃人所邀, 藉助聲援, 均未可知. 惟事關邊徼, 憑陵屬國, 必須徹底根究. 相應請旨飭下吉林將軍, 確切査明, 是否果有中國民人, 越界搬運該國逃人財産, 並界牌近處築室結屋, 係在何國地界. 以及防禦之人被傷, 防守之幕被燒, 是否係中國人所爲, 務須詳細確査, 據實覆奏, 毋許稍有廻護. 並嚴飭査江各卡官弁, 認眞嚴密稽査, 不准中國及朝鮮人民, 彼此私行越界, 以淸疆域, 而重邊防. 至朝鮮所請將右項諸人, 並爲押還, 一倂請旨飭査, 如在中國地內, 卽令該將軍, 派委官弁, 解赴朝鮮, 交該處邊界官辦理. 所有臣等遵旨議奏緣由, 理合恭摺具陳. 是否有當, 伏乞皇太后・皇上, 聖鑒訓示. 謹奏一摺.
奉旨.
依議.
欽此.
抄錄原奏, 咨行禮部査照.
等因. 前來.
相應抄錄該衙門原奏, 知照朝鮮國王査照辦理可也.
等因.
奉此. 除將禮部咨內辭意一一承領, 而小邦近與俄人相關因由, 並畫隨事申咨, 冀徼寵靈. 卽是小邦盡誠事大之義, 不敢自阻於視同內服之恩者也.주 002
각주 002)
내복(內服)은 왕기(王畿) 이내의 지방을 가리켜, 외복(外服)과 상대되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내지’와 비슷한 뜻이라 하겠다.
닫기
小邦北地與上國地界, 隔江遙對, 犯越人口, 理應往接於上國地界. 故所以有另飭邊官, 押還本境之請. 而伊時搶掠之類, 其或貪利財産, 成羣剽劫, 亦或被人引誘, 藉助聲援, 並未可知. 冒禁越界, 憑陵屬國, 揆以典憲, 不應饒貸. 故所以有申嚴厲禁, 永靖邊圉之請矣. 今承咨辭, 奉有撤底根究確切査明之諭, 感載之極, 不省所謝. 第惟邊民之恣意犯越, 實由小邦不能致愼於疆場之事. 而猶復輒陳情形, 欲望皇慈之照察者, 豈不知其萬萬悚惕也. 惟我大朝, 優恤偏邦, 申畫疆理, 昔日訓戒越境窩鋪之亟撤, 莽牛哨・地隙汛之勿設.주 003
각주 003)
와포(窩鋪)는 불법 이주・개간민의 소굴이나 움집을 가리키며, 망우초(莽牛哨)・지극신(地隙汛)은 압록강・두만강 북쪽에 설치된 청조의 초소 및 부대를 가리킨다. 康熙・雍正・乾隆 때 이러한 움집이나 초소・부대의 설치는 조선의 항의로 모두 중국 측에서 양보하여 철수한 바가 있는데 그러한 역사적 사실을 가리킨다. 이에 대해서는 배우성・구범진 역, 『국역「同文彙考」疆界史料』(동북아역사재단, 2008)에 관련 사료와 번역문이 실려 있다.
닫기
何莫非杜絶奸闌, 思患預防之至仁大德! 則小邦之憑仗遵守, 保有今日, 洪恩所覃, 河海莫量.
茲者, 遐陬速頑之氓, 暋不畏法, 逋播轉徙者, 數至數千, 數載之頃, 全未糾檢. 自顧慚惶, 益無所容措. 而尙賴我皇朝淸疆域重邊防之政, 俾小邦將有以飭勵申嚴, 獲逭大戾. 此小邦君臣之所以日夜攢祝, 而凡有疾痛悶阨, 不憚於奔走呼籲者也. 煩乞部堂諸大人, 將此情由轉奏天陛, 不勝至願大幸. 爲此, 合行咨覆, 請照驗施行.

  • 각주 001)
    盛京은 後金과 淸의 都城으로 오늘날의 遼寧省 瀋陽市이다. 1625년 太祖 누르하치가 도성을 이곳 沈陽으로 옮겨 皇城을 건설하기 시작하였고, 1634년 太宗 홍타이지(皇太極)가 성경이라 이름을 바꾸었다. 順治元年(1644) 北京으로 수도를 옮김에 따라 盛京은 留都가 되었지만, 戶・禮・兵・刑・工 등 五部와 各部侍郞을 總管인 內大臣(乾隆 12년 盛京將軍으로, 光緖 33년 奉天巡撫로 바뀌었다)을 두어 留守하게 하였으며, 奉天이라는 이름도 추가되었다. 바로가기
  • 각주 002)
    내복(內服)은 왕기(王畿) 이내의 지방을 가리켜, 외복(外服)과 상대되는 말이다. 굳이 따지자면 ‘내지’와 비슷한 뜻이라 하겠다. 바로가기
  • 각주 003)
    와포(窩鋪)는 불법 이주・개간민의 소굴이나 움집을 가리키며, 망우초(莽牛哨)・지극신(地隙汛)은 압록강・두만강 북쪽에 설치된 청조의 초소 및 부대를 가리킨다. 康熙・雍正・乾隆 때 이러한 움집이나 초소・부대의 설치는 조선의 항의로 모두 중국 측에서 양보하여 철수한 바가 있는데 그러한 역사적 사실을 가리킨다. 이에 대해서는 배우성・구범진 역, 『국역「同文彙考」疆界史料』(동북아역사재단, 2008)에 관련 사료와 번역문이 실려 있다. 바로가기

색인어
이름
全慶, 富明阿, 富明阿, 額爾蘇勒, 尹才官, 金應哲, 景綸, 張保汰, 德英, 富明阿
지명
俄國, 吉心河, 琿春, 俄羅斯, 吉心河, 吉心河, 俄國, 吉心河, 慶源府, 阿山鎭, 白顔村, 慶興府, 俄羅斯, 吉心河, 高麗, 吉心河, 吉心河, 高麗, 圖們江, 朝鮮, 朝鮮, 俄國, 中國, 吉心河, 俄國, 中國, 朝鮮, 朝鮮, 中國, 俄國, 朝鮮, 吉林, 朝鮮, 朝鮮, 朝鮮, 慶源府, 琿春, 中國, 朝鮮, 中國, 朝鮮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월경(越境)한 촌민의 체포를 요청하는 조선국왕의 자문(咨文)과 조사를 요청하는 군기처(軍機處)의 주접(奏摺) 자료번호 : cj.d_0001_0020_0030_00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