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태평보고성(太平堡古城)

  • 구분
    유적
  • 시대
    고구려
  • 위치
  • 유물번호
    S000848
  • 위치(출토지)
    大石橋市 高坎鎭 太平堡村
  • 지역
    영구(營口市)
  • 유형
    성곽>평지성
  • 형태사항
    7점 
출토지
대석교시 고감진 태평보촌(大石橋市 高坎鎭 太平堡村)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81 1981년 봄 조사. 대석교시 고감진 태평보촌(大石橋市 高坎鎭 太平堡村) 서북 200m 떨어진 높은 대지에서 성을 발견. 지역주민들은 고려성(高麗城)이라고 부름.
. 현문물보호단위(縣文物保護單位)로 지정됨.
구조특징
평지성(보루)임. 발견 당시 보존이 비교적 양호하였다고 하나, 지금은 성의 흔적을 찾아보기 어려움. 성지는 방형임. 각 변 길이는 약 200m임. 대지 중앙에 다시 단(段)이 지는 높은 지대가 있는데, 한 변의 길이는 약 100m 전후임.
성벽은 과수원 내부에 토루(土壘)가 남아 있었다고 하나, 지금은 흔적을 찾을 수가 없음. 『奉天通志』卷87에 성문 1개가 있었다는 기록이 있음.
홍색 및 회색 포문기와, 철제 도끼편, 청색 벽돌, 토기구연부 등 출토됨(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고구려시기 와당, 홍색기와 등이 출토되었고, 요대의 백자편, 북송의 희녕원보(熙寧元寶) 등이 출토됨.
역사적 의미
성 하부는 고구려유적이고, 상부는 명대에 축조된 태평보성지임. 『奉天通志』卷87에는 ‘太平堡가 성(海城) 서남 70里에 있고, 주위가 98步이며, 문 한 개가 있고, “靑城子”라고도 불린다’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 기록에 나타난 성이 태평보성지임. 다만 태평보성지는 과거 고구려성이라고는 불리었으나, 청성이란 명칭으로는 불리지 않았음. 태평보성지에서 3.5㎞ 떨어진 구연향 청성촌 요성지(溝沿鄕 靑城村 遼城址)가 청성(靑城)으로 추정되는 바, 두 성의 이름을 혼동하여 기록한 것으로 추정됨. 즉 청성자(靑城子)란 지명은 태평보성지가 아님(崔艳茹·馮永謙·催德文, 1996). 성은 요대에도 계속해서 사용됨.
요양 요동성지(遼陽 遼東城址), 무순 노동공원고성(撫順 勞動公園古城), 신빈 영릉진고성(新賓 永陵鎭古城) 등 요하유역에 분포한 고구려 평지성은 대부분 중국계 평지토성을 고구려인들이 재사용한 것임(여호규, 1999).
요하유역의 다른 고구려성이 요동평원에서 요하지류연안으로 진입하는 길목에 위치한 반면, 태평보고성(太平堡古城)은 요하 하구부근 지역으로서 요하에 가장 근접한 위치에 있음. 부여성~발해만에 쌓았다는 천리장성이 농안~영구(農安~營口)의 동안에 축조되었다고 추정되는 만큼, 천리장성과의 관련성도 설정해볼 수 있음(여호규, 1999). 다만, 성 주변에서 고구려의 천리장성과 연관될 수 있는 유적이 발견되지 않음(梁振晶, 1994).
자연환경
대석교시 고감진 태평보촌(大石橋市 高坎鎭 太平堡村) 서측(國家文物局(2009)은 남측이라고 기록함)에 위치함. 노변촌(老邊村) 서북 약 15㎞에 위치함. 성은 태자하와 매우 가까움. 요하 하구(遼河 河口)에서 약 10여㎞ 떨어진 성으로, 요하 하구에서 가장 가까운 고구려성임. 성 안은 갈색토(褐色土)이고, 현재는 과수원임.
유물정보
기와(瓦) 1점, 기와편(瓦片) 1점, 도끼(斧) 1점, 전돌(塼) 1점, 백자편(白磁片) 1점, 토기편(土器片) 1점, 희녕원보(熙寧元寶) 1점
참고문헌
· 梁振晶, 「高句麗千里長城考」『遼海文物學刊』 1994-2, 1994
· 崔艶茹·馮永謙·催德文, 『營口市文物志』, 遼寧民族出版社, 1996
· 余昊奎, 『高句麗 城』 Ⅱ(遼河流域篇), 國防軍史硏究所, 1999
· 國家文物局 主編, 『中國文物地圖集』 遼寧分冊, 西安地圖出版社, 200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태평보고성(太平堡古城) 자료번호 : ku.d_0001_0110_0030_00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