혼춘 살기성(琿春 薩其城 ; 沙齊城 ; 薩奇城)
출토지
琿春市 楊泡鄕 楊木林子村(泡子沿村) 동남쪽 1.5km 琿春河 하류 삼각 충적평원 동북 가장자리의 南山 위
연대
고구려 혹은 고구려-발해시기로 보는 견해(李健才, 1985 ; 嚴長綠·楊再林, 1988 ; 延邊博物館, 1988 ; 孫進己·馮永謙, 1989 ; 嚴長錄, 1990 ; 정영진, 1990·1999 ; 王綿厚, 1994·2002 ; 馮永謙, 1994 ; 東潮·田中俊明, 1995 ; 방학봉, 1999·2002 ; 魏存成, 1999·2002·2011 ; 王禹浪·王宏北, 2007 ; 양시은, 2012 ; 임기환, 2012)와 발해시기로 보는 견해(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 國家文物局, 1993)
조사내용
연도 | 조사기관 | 조사현황 |
1972년 5월 초 ~ 1962년 초 | 이건재(李健才) | · 琿春 경내의 고성에 대해 조사를 진행함. |
1979년 | 길림성문물고고련반(吉林省文物考古練班) | · 각 地區·縣(市) 文物의 간부가 참여한 吉林省文物考古練班이 汪淸·琿春·龍井·和龍 경내의 유적에 대한 대규모 고고조사를 진행하였는데, 이때 薩其城도 함께 조사함. |
1983 ~ 1985년 | 길림성문물국(吉林省文物局) | · 吉林省文物局이 전체 州 각 縣(市) 文物志 편찬 계획을 세우고, 1983년~1985년에 걸쳐 전체 州에 대해 문물조사작업을 전개하는 과정 속에서 薩其城도 조사함. |
1988년 | 연변박물관(延邊博物館) | |
1989년 | 엄장록, 정영진 |
구조특징
성내는 남쪽이 높고 북쪽이 낮으며, 동·서 두 골짜기로 나눌 수 있음. 두 골짜기는 남북으로 뻗다가 북문 안쪽에서 합쳐짐. 성벽 바깥 경사도는 30~40°로 매우 가파름. 평면은 반월형에 가까움.
역사적 의미
고구려 柵城설(李健才, 1985 ; 劉子敏, 2001 ; 王綿厚, 2002 ; 임기환, 2012)과 발해 東京龍原府의 穆州 혹은 賀州 치소설(延邊博物館, 1988)이 있음.
琿春河 유역은 고구려의 동북 진출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위급 상황에는 고구려왕이 피난했던 곳이므로 살기성을 축조하였던 것으로 추정됨(魏存成, 1999). 살기성은 琿春河 유역 충적평원의 수륙요충지를 직접 통제하고 인구 밀집지역을 감시할 수 있었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살기성과 근처 양목림자 유적지를 동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고, 고구려 도성 축조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기도 함(嚴長錄, 1990).
琿春河 유역은 고구려의 동북 진출에 있어 매우 중요하고, 위급 상황에는 고구려왕이 피난했던 곳이므로 살기성을 축조하였던 것으로 추정됨(魏存成, 1999). 살기성은 琿春河 유역 충적평원의 수륙요충지를 직접 통제하고 인구 밀집지역을 감시할 수 있었음(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살기성과 근처 양목림자 유적지를 동시기에 축조된 것으로 보고, 고구려 도성 축조방식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기도 함(嚴長錄, 1990).
자연환경
산성 주위에는 해발 100~423m인 산들이 있음. 동면은 산봉우리와 접해 있고, 서·북 양 면은 琿春河 충적평원임. 북쪽으로 3㎞ 떨어진 지점에 琿春河가 있고, 남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는 개울이 흐름.
유물정보
철제 화살촉이 출토됨. 발해시기의 유물로 보기도 함(楊雨舒, 2005).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1984, 『琿春縣文物志』, 吉林省文物志編修委員
· 李健才, 1985, 「琿春渤海古城考」『學習與探索』1985-6
· 嚴長綠·楊再林, 1988, 「延邊地區高句麗-渤海時期紋飾板瓦初探」『博物館硏究』1988-2
· 延邊博物館, 1988, 『延邊文物簡編』, 延邊人民出版社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嚴長錄, 1990, 「연변지구 발해시기의 옛 성터에 관한 고찰」『발해사연구』1, 延邊大學出版社
· 정영진, 1990, 「연변지구의 고구려유적 및 몇 개 문제에 대한 탐구」『한국상고사학보』4
· 吉林師範學院古籍硏究所, 1991, 『琿春史志』, 吉林文史出版社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林直樹, 1994,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靑丘學術論集』5
· 王綿厚,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1994-2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방학봉, 1999, 「高句麗柵城의 위치에 대한 고찰」, 『京畿史學』3
·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정영진, 1999, 「延邊地域의 城郭에 대한 연구」『고구려연구』8
· 趙永軍, 2000, 「渤海中小城址的初步考察」『北方文物』2000-3
· 劉子敏, 2001, 「高句麗疆域沿革考辨」『社會科學戰線』2001-4
· 李健才, 2001, 『東北史地考略』, 吉林文史出版社
· 방학봉, 2002,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迹』, 文物出版社
· 李强·侯莉閩, 2003, 「延邊地區渤海遺存之我見」『北方文物』2003-4
· 楊雨舒, 2005, 「渤海國時期吉林的鐵器述論」『北方文物』2005-3
· 王禹浪·王宏北, 2007,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下), 哈爾濱出版社
· 이성제, 2009, 「高句麗와 渤海의 城郭 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高句麗渤海硏究』34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양시은, 2012,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임기환, 2012,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李健才, 1985, 「琿春渤海古城考」『學習與探索』1985-6
· 嚴長綠·楊再林, 1988, 「延邊地區高句麗-渤海時期紋飾板瓦初探」『博物館硏究』1988-2
· 延邊博物館, 1988, 『延邊文物簡編』, 延邊人民出版社
· 孫進己·馮永謙, 1989, 『東北歷史地理』2, 黑龍江人民出版社
· 嚴長錄, 1990, 「연변지구 발해시기의 옛 성터에 관한 고찰」『발해사연구』1, 延邊大學出版社
· 정영진, 1990, 「연변지구의 고구려유적 및 몇 개 문제에 대한 탐구」『한국상고사학보』4
· 吉林師範學院古籍硏究所, 1991, 『琿春史志』, 吉林文史出版社
· 國家文物局, 1993, 『中國文物地圖集』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 林直樹, 1994, 「中國東北部の高句麗山城」『靑丘學術論集』5
· 王綿厚, 1994, 「鴨綠江右岸高句麗山城硏究」『遼海文物學刊』1994-2
· 馮永謙, 1994, 「高句麗城址輯要」『北方史地硏究』, 中州古籍出版社
· 東潮·田中俊明, 1995, 『高句麗の歷史と遺跡』, 中央公論社
· 방학봉, 1999, 「高句麗柵城의 위치에 대한 고찰」, 『京畿史學』3
· 魏存成, 1999, 「길림성 내 고구려산성의 현황과 특징」『고구려연구』8
· 정영진, 1999, 「延邊地域의 城郭에 대한 연구」『고구려연구』8
· 趙永軍, 2000, 「渤海中小城址的初步考察」『北方文物』2000-3
· 劉子敏, 2001, 「高句麗疆域沿革考辨」『社會科學戰線』2001-4
· 李健才, 2001, 『東北史地考略』, 吉林文史出版社
· 방학봉, 2002, 『발해성곽연구』, 연변인민출판사
· 王綿厚, 2002,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 魏存成, 2002, 『高句麗遺迹』, 文物出版社
· 李强·侯莉閩, 2003, 「延邊地區渤海遺存之我見」『北方文物』2003-4
· 楊雨舒, 2005, 「渤海國時期吉林的鐵器述論」『北方文物』2005-3
· 王禹浪·王宏北, 2007, 『高句麗·渤海古城址硏究匯編』(上·下), 哈爾濱出版社
· 이성제, 2009, 「高句麗와 渤海의 城郭 운용방식에 대한 기초적 검토」『高句麗渤海硏究』34
· 동북아역사재단, 2010, 『고구려성 사진자료집』중국 길림성 동부
· 魏存成, 2011, 「中國境內發現的高句麗山城」『社會科學戰線』2011-1
· 양시은, 2012, 「연변 지역 고구려 유적의 현황과 과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
· 임기환, 2012, 「고구려의 연변 지역 경영 - 柵城과 新城을 중심으로」『동북아역사논총』38, 동북아역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