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 바로가기내용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상세검색
  • 디렉토리 검색
  • 작성·발신·수신일
    ~
고구려문화유산자료
출토지
집안시 양수향 외차구촌 (集安市 凉水鄉 外岔溝村)
연대
고구려 초중기(3세기 중엽-4세기 중엽)
조사내용
연도조사기관조사현황
1983집안현문물조사대
(集亞縣文物調査隊)
4월에 집안현문물관리소가 집안현 경내의 유적과 유물을 일제히 조사할 때 칠개정자관애를 발견하였고, 기초적인 조사를 실시함.
구조특징
칠개정자산을 旗竿頂子山이라고도 부르며, 관애 역시 ‘旗竿頂子關隘’라고 부름. 계곡을 횡단하여 자연 산돌로 관애를 축조하였고, 성벽 방향은 235˚이며, 계곡물보다 약 3m 높음. 관애 중앙으로 계곡이 관통하기 때문에 동벽과 서벽으로 나뉨.
1983년 조사 당시 성벽이 심하게 허물어져 성벽 단면을 정확히 알 수 없고, 돌들이 양쪽으로 많이 흩어져 외관상 둥그스럼한 돌무더기처럼 보였다고 함. 이 당시 동벽의 경우, 도로에 위해 잘려나간 서단을 제외하면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었다고 함. 그 뒤 동벽 동단의 산기슭 아래로 도로를 신설함에 따라 동단 부분도 많이 파괴되었고, 계곡 서안의 서벽 부분은 성벽 자체를 확인하기 힘들 정도로 거의 사라진 상태이며, 특히 서벽 중앙으로 도로가 지나가고 있음.
역사적 의미
주변 유적으로 동쪽 13㎞ 거리에 만구노변장관애가 있고, 관애 남쪽으로 200m 정도 떨어진 평지상에 고구려 적석묘가 여러 기 남아 있음.
지정학적으로 칠개정자산 계곡의 남단에 위치하며, 계곡 입구 바로 앞에는 압록강이 유유히 흐르고 있음. 외차구는 혼강 하구의 왼쪽 부근으로 북쪽으로 외차구하를 거슬러 大路鄕을 지나 掛牌嶺을 넘어서 욘여성 환인현으로 나아가며, 동쪽으로는 양수향, 유림향, 태평향을 지나 집안현성(길림성 집안시 소재지)에 도달함. 1932년에 간행된 『集安縣志』에 따르면, 상류 쪽에서 순조롭게 흐르던 압록강은 太平鄕 江口村에서부터 유림하와 양수천자하 하구까지는 양안에 험준한 봉우리가 우뚝 솟아있고, 물살이 거세지며, 물결도 크게 일기 시작하고, 강물이 협곡 사이를 좌충우돌하면서 굽이쳐 흐르기 때문에 심한 소용돌이, 급한 물굽이, 암초 등을 만들며, 要孩子哨, 媽媽哨, 方車子哨, 老虎哨, 關門砬子 등으로 불리는 험준한 요해처가 생겨났음. 그리고 강물을 따라 수십리를 빙 돌더라도 실제로는 1리 정도밖에 나아가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압록강 수운을 이용할 경우 항해 도중에 많은 위험이 따르게 됨. 그러다가 유림하와 양수천자하 하구부터 하류 쪽으로 강의 수면이 점차 넓어지고 강물의 흐름도 완만해지게 됨. 그리하여 예로부터 압록강을 거슬러 올라가는 배들은 대부분 외차구하나 양수천자하 일대에 정박한 다음, 육로를 이용하여 집안현성(집안시) 소재지로 나아갔다고 함. 20세기 전반 외차구촌 일대는 압록강 수로 교통과 집안지역 육로 교통의 결절점으로서 지금의 집안시 소재지보다 더 번성했다고 함. 특히 1888년 봄 외차구하에 주둔하던 청나라 군대가 지역 유지들의 도움을 받아 노령산맥에 老斧嶺 고갯길을 새로이 개설하여 외차구하 일대와 노령산맥 남쪽 사이뿐 아니라 노령산맥 북쪽 지역 일대와의 교통도 원활하도록 했음. 다만 1940년대 수풍댐이 건설된 다음 압록강 수로 교통이 쇠퇴하면서 외차구촌 일대도 점차 쇠퇴하게 됨. 칠개정자관애의 기능과 성격은 바로 이러한 지정학적 위치를 고려하면서 파악할 필요가 있음.
관애의 기능과 성격을 보면, 첫째, 압록강 수상 교통로를 통제하던 도성 외곽의 군사시설로 관애 남쪽 계곡 입구에 적석묘군이 있는 것으로 보아, 고구려 시기의 군사시설로 추정되고, 20세기 전반 외차구 일대가 압록강 수상 교통과 육상 교통의 결절점이었던 것으로 보아 고구려 시기에도 비슷했을 것으로 추정됨. 이에 일반적으로 칠개정자관애가 동남쪽 13㎞ 거리에 위치한 만구노변장관애와 함께 압록강 수상 교통로와 상륙로를 봉쇄하던 방어시설이었을 것으로 추정함. 다만 관애가 위치한 칠개정자산 골짜기 자체가 주요 교통로로 활용되지는 않았다는 점에서 외형은 골짜기를 가로지른 관애의 형태를 띠고 있지만, 실제로는 성벽 안쪽의 골짜기를 군사시설로 활용하던 군사방어성의 성격을 띠었을 간으성이 상당히 높음. 둘째, 342년 남도상의 방어시설로, 342년 전연 모용황이 고구려를 침공할 때 등장하는 남도와 북도가 신빈 永陵鎭에서 갈라진다고 설정한 다음, 남도를 이도하를 거쳐 혼강 지류인 육도하와 혼강 본류를 따라 내려와 혼강구를 지나 압록강 본류를 거슬러 집안으로 향하는 노선으로 설정한 다음 노변장관애와 더불어 칠개정자관애를 남도상의 중요한 방어시설을 구성했다고 파악하기도 함(王線厚).
자연환경
집안현성(집안시)에서 서남쪽으로 65㎞ 떨어진 양수향 외차구촌 서쪽에 위치하고, 북쪽 200m 거리에 외차구촌(칠개정자) 6隊가 있으며, 관애는 칠개정자산 계곡의 남단에 위치함.
칠개정자산은 노령산맥의 주요 산줄기로 서북쪽에서 동남쪽으로 뻗어 있는데, 이 산줄기는 남쪽으로 압록강 北岸으로부터 시작하여 북쪽으로는 古馬嶺, 掛牌嶺 등과 연면히 이어지며 60여㎞ 뻗어나가 노령의 주맥과 연결됨. 칠개정자산에는 좁고 긴 계곡이 하나 있는데, 길이가 약 15㎞ 되며, 양사면의 계곡 물이 압록강으로 흘러들고 있음. 바로 이 계곡 입구에서 북쪽으로 300여m 들어온 지점에 위치함. 관애 남쪽 300여m 거리의 계곡 입구 바깥쪽에는 남북 너비 300-600m, 동서 길이 1,500m인 충적대지가 기다랗게 펼쳐져 있는데, 본래 강의 수면보다 4m 정도 높았지만 지금은 수풍댐이 만수위에 가까워지면서 충적대지가 물에 잠김. 계곡 입구에서 골짜기를 따라 북쪽으로 나아가면 관애가 위치한 지점에서 계곡의 폭이 좁아지고 산비탈이 가팔라지며 천연 방어물을 형성함.
참고문헌
· 吉林省文物志編委會, 『集安縣文物志』, 1984
· 方起東·林至德, 「集安高句麗考古的新收穫」『文物』 1984-1, 1984
· 方起東·劉景文, 「吉林省近十年考古工作的主要收穫」『博物館研究』 1990-1, 1990
· 國家文物局 主編, 「集安市-七個頂子關隘」『中國文物地圖集』 吉林分冊, 中國地圖出版社, 1992
· 李殿福(車勇杰·金仁經 譯), 『中國內의 高句麗遺蹟』, 學硏文化社, 1994
· 余昊奎, 「集安 七個頂子關隘」『高句麗 城』 Ⅰ(鴨綠江 中上流篇), 國防軍史硏究所, 1998
· 王綿厚, 『高句麗古城硏究』, 文物出版社, 2002
· 杜宇 編著, 「老斧嶺山路變遷」『集安風景名勝史話』, 通化師範學院照排印刷中心, 1999
오류접수

본 사이트 자료 중 잘못된 정보를 발견하였거나 사용 중 불편한 사항이 있을 경우 알려주세요. 처리 현황은 오류게시판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전화번호, 이메일 등 개인정보는 삭제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칠개정자관애(七個頂子關隘) 자료번호 : ku.d_0001_0040_0030_15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