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악3호분벽화 安岳三號墳壁畵

고구려 고분벽화 3D 가상전시관

안악3호분 홍보영상

  • 언어 : Korean
  • 제목 : 시대를 담은 그림
  • 제작년도 : 2011
  • 다운로드 : HD Download(한국어)

"시대를 담은 그림 - 안악 3호분 벽화"

북한의 황해남도 안악군에 위치한 안악3호분은 고국원왕 때인 서기 357년에 만들어졌다. 현무암과 석회암의 큰 판석으로 짜여진 석실봉토벽화고분으로, 조사 당시 고분은 남북 길이 33m, 동서길이 30m의 방대형분이었고 지표에서 고분 정상부까지의 높이는 약 6m 정도였으나 현재는 그보다 더 큰 규모로 복원되어 있다. 고분의 내부는 널길과 앞방, 좌우 곁방, 널방 그리고 널방을 ‘ㄱ’자 모양으로 돌아가는 회랑으로 구성되어 있다. 널길과 앞방 그리고 회랑은 통로로 연결된 독립 공간이 아니라 기둥과 사이 벽으로 구성되어 전체 평면은 마치 두 칸처럼 보인다. 천장과 각 방의 벽면은 인물과 풍속을 주제로 하는 다양한 벽화들로 채워졌는데, 세밀하게 묘사된 무덤주인공 부부의 모습과 웅장하고 생동감있게 표현된 행렬도가 단연 돋보인다. 그 외에도 방앗간, 우물, 부엌, 고깃간, 차고, 외양간, 마구간 등의 벽화는 4세기 중반 고구려인의 생활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무덤의 널길 동서 양쪽 벽에는 의장대열이 그려져 있다. 이처럼 무덤입구의 널길에 의장대를 그려 넣은 것은 안악3호분에만 보이는 특징이다. 앞방 남벽의 동서 양 벽에는 화개, 각종 깃발, 절(節), 도끼를 든 의장대 인물들이 예의를 갖춘 듯 허리를 약간 굽힌 채 입구를 향해 있으며, 뿔피리와 북 등을 연주하는 악대도 모두 입구를 향하고 있다. 의장대열 좌측 아랫단에는 부월수의 그림이 있다. 도끼를 들고 긴 저고리에 바지를 입었으며 허리에는 띠를 매고 있다.

널길과 연결된 앞방은 옆으로 긴 장방형이며 천장은 평행삼각고임이다. 이 앞방의 동, 서 양측으로 곁방이 있다. 서쪽 곁방 입구 양쪽 벽에는 왕의 호위무관인 장하독이 서로 마주보는 자세로 그려져 있다. 앞부분이 뾰족하게 솟은 ‘책’이라는 머리쓰개를 쓰고 있는 이 장하독 위로 묵서가 있다. 좌측의(남쪽의) 장하독 위에 있는 묵서는 비교적 선명하게 남아 있지만, 우측의(북쪽의) 장하독 위에 있는 묵서는 일부 흔적만 있을 뿐,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없다. 좌측 장하독 묵서에는 영화 13년 관직에 있었던 ‘동수’라는 인물이 69세의 나이로 사망한 사실이 기록되어있다. 안악3호분의 주인공에 대해 학계에서는 고국원왕으로 보는 입장과 동수로 보는 입장이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치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서쪽 곁방은 남북 방향으로 긴 장방형 모양이다.

무덤 주인공의 초상은 서쪽 곁방의 정면 벽에 그려져 있다. 평상 위에서 정좌한 모습의 주인공은 검은 내관 위에 하얀 덧관을 쓰고 있는데 이것은 결이 아주 고운 비단 종류인 ‘라’를 이용해 만든 관이다. 무덤 주인공이 붉은 색의 화려한 비단 옷을 입고, 좌우에 관리들을 거느리고 정사를 보는 모습이 아주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주인공 부인의 초상은 주인공의 바로 옆인 남쪽 벽면에 그려져 있다. 주인공을 향해 몸을 살짝 틀고 앉아 있는 자세로, 풍만한 얼굴에 살짝 미소를 머금은 표정으로 묘사된 부인은 화려한 머리 장식에 꽃무늬 비단옷으로 치장한 채로 시녀들에게 시중을 받고 있다. 동벽에 위치한 입구의 왼편에는 문지기 한 사람이 두 손을 공손히 겹친 채 입구를 향해 서있는 모습도 보인다. 벽 바로 위의 들보에는 화려한 구름무늬로 장식되어 있고 삼각고임 천장의 중앙에는 붉은 연꽃이 피어 있다.

서쪽 곁방을 나와 건너편에 위치한 동쪽 곁방 입구 오른쪽 벽에는 고구려 대중들에게 널리 퍼졌던 권법인 수박희 장면과 도끼를 든 부월수(斧鉞手)의 대열이 상하 두 단으로 나뉘어 그려져 있다. 동쪽 곁방도 남북 방향이 긴 장방형 모양으로 서쪽 곁방보다 약간 작다. 동쪽 곁방 내부의 벽면은 고구려의 주거 문화를 볼 수 있는 다채로운 벽화들로 장식되어 있다. 곡식을 손질하고 요리를 하는 모습에서부터 정교하게 표현된 수레와 가축 그림 등은 무덤 주인공이 실제 살았던 집인 듯 매우 사실적이다. 우선 서벽의 오른편에는 디딜방아의 유래를 가늠할 수 있는 방앗간이 그려져 있는데, 방아를 찧고 있는 여인과 키질을 하고 있는 여인의 모습이 흥미롭다. 오른편으로 돌아 북벽엔 지레 원리를 이용한 용두레 우물이 그려져 있으며 우물 주변으로 다양한 모양의 물항아리와 구유를 볼 수 있다. 동벽의 부엌에는 하녀로 보이는 여성이 큰 시루 앞에서 음식을 만들고 있다. 그릇의 크기로 미루어 얼마나 많은 식구가 함께 살고 있는지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아궁이 앞으로는 또 다른 하녀가 정성스럽게 불씨를 보고 있고, 옆에서는 한 여자가 소반 위의 접시 같은 것을 정리하고 있다.

부엌 옆으로 푸줏간과 차고가 있다. 푸줏간에는 노루, 돼지 등 짐승들이 고리에 매달려 있고, 수레를 보관하는 차고에는 두 대의 수레가 있는데 이 수레들은 소가 끄는 수레로 ‘약수리 벽화 무덤의 행렬도’에서도 그 모습을 찾아볼 수 있다. 남벽에 그려진 외양간에는 검정소, 누렁소, 얼룩소 등 세 마리의 소가 있는데 뿔이 모두 빨간색이고 코뚜레를 달았다. 서벽의 왼편에는 마구간이 그려져 있는데 말들의 털빛이 각각 다르고, 말 갈기 한 올 한 올까지 묘사할 정도로 세밀한 표현이 돋보인다. 주거공간을 이렇게 자세하고 정성스럽게 묘사한데는 생전의 풍요로웠던 생활이 내세에도 재현되기를 바라는 간절한 마음이 담겨 있다. 앞방과 널방 사이에는 4개의 기둥을 세워 구획을 나눴다.

네 개의 기둥으로 앞방과 구분되는 널방의 동벽에는 세 사람의 악대와 그 옆에서 다리를 꼰 채로 춤을 추고 있는 서역계 무희의 모습이 보이고 있어 당시 고구려의 활발한 대외 문화 교류를 알 수 있다. 널방은 방형평면이며 천장은 앞방과 마찬가지로 3단의 평행고임 위에 2단의 삼각고임을 얹은 평행삼각고임 구조이다. 회랑은 널방의 동벽에서부터 북벽까지 ‘ㄱ’자로 둘러싸여 있다. 이 회랑의 남쪽 벽면에는 고상식 건물이 그려져 있으며, 동쪽 벽면에는 250여 명에 달하는 사람들로 구성된 ‘행렬도’가 그려져 있다. 소가 끄는 수레를 탄 주인공을 중심으로 앞쪽에는 악대가 노래와 연주, 춤을 추며 나아가고 수레 뒤쪽으로는 의장 기수, 시녀, 말을 탄 문관 등이 뒤따르고 있다. 이러한 웅장한 행렬은 당시 무덤 주인공의 지위가 매우 높았음을 말해주고 있다.

벽화에서 보이는 것처럼 고구려는 폭넓은 대외관계를 바탕으로 동서의 여러 문화를 받아들여 이후 자신들만의 고유한 문화로 승화시키며 발전해 갔다. 안악3호분 벽화를 통해 4세기 중반 고구려 회화, 서예 문화의 발전, 아울러 다양한 생활모습, 정치사적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안악3호분은 고구려 문화사 연구에서 매우 특별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벽화를 통해 전해지는 고구려인의 다양한 풍속을 엿볼 수 있다는 점에서 안악3호분은 고구려인의 삶이 담겨진 위대한 예술작품인 동시에 고구려의 생활상을 연구할 수 있는 우리 민족의 귀중한 문화유산으로 자리하고 있다.

 

 

  • Language : English
  • Title : Picture to Embrace the Era
  • Year : 2011
  • Attachments : HD Download(ENG)

"Picture to Embrace the Era ?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Located at Anak-gun, Hwanghaenam-do, North Korea, Anak Tomb No. 3 was built in 357 B.C. under the reign of King Gogukwon.

It is a Seoksil Bongtobun (mounded stone chamber tomb with mural painting) built around basalt and limestone slats. At the time of investigation, it was an elliptical tomb with a north-south length of 33 meters, an east-west length of 30 meters, and a height of six meters from the ground to the top of the tomb. It is currently being restored in a larger scale. The inside of the tomb is structured with a tomb entrance passage, front chamber, right and left-side chambers and main chamber, and a reversed L-shaped corridor. The tomb entrance passage, the front chamber, and the corridor are not connected separate spaces, but are sectioned off by pillars and an inserted wall so that the overall the floor plan appears to have two separate compartments. The ceiling and walls of each chamber are filled with various mural paintings that depict the people and customs of the time: the paintings of the couple who are the owners of the tomb and a parade stand out the most, and are particularly spectacular and vivid. The other paintings feature a rice mill, well, kitchen, meat storage house, garage, stable, etc. and recreate the lifestyle of the Koguryo people in the mid-4th century The procession of honor guards is depicted on the eastern and western walls of the tomb entrance passage. The presence of these honor guards at the tomb entrance passage is the distinguishing feature of Anak Tomb No. 3. On the eastern and western walls of the front chamber, there is a painting featuring figures in the honor guard holding Hwagye (a hexagon-shaped parasol decorated with embroidery and paintings), various flags, Jeol (a type of stick), and axes. These figures are turned in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in a slightly bowing position, and a band playing bugles and drums also face the entrance. To the left below the procession, there is a painting of Buwolsoo (axe army). They are shown holding axes and wearing long sleeve jackets, pants, and bands around their waists. The front chamber connected to the tomb entrance passage is rectangular shaped, being longer at the sides, and the ceiling is Pyeonghaengsamgakgoim (a composite ceiling with parallel and intersecting arches). Side chambers were built at the eastern and western sides of the front chamber.

On both walls around the entrance of the western chamber, Janghadogs (King’s guard) face each other. Mukseo (Chinese characters written in ink) is displayed over the Janghadogs wearing head pieces with a pointed frontal part called “Chaek.” While the Mukseo on the left (south) Janghadog is relatively legible, only traces are left of the writing on the right (north) and it is impossible to read.

The Mukseo on the left is a record about a man named “Dongsu” who served office for 13 years during Yeonghwa and passed away at the age of 69. Scholars are divided regarding the ownership of Anak Tomb No. 3: one camp thinks the owner is King Gogukwon; the other believes the owner is “Dongsu.” More concrete and in-depth discussion is required to determine who the actually owner was. The side chamber on the west has a rectangular shape that is longer in the northeast direction. The portrait of the owner of the tomb is hung on the front wall of the side chamber on the west. The figure of the portrait who is sitting erect on the low wooden bench wore an additional white Kwan (type of hat) over a black inner Kwan. The white Kwan is made of “La,” which is a type of a very finely textured silk.

The painting delicately illustrates the owner of the tomb, who wore flamboyant red colored silk clothes, managing the affairs of state with his officials at his left and right sides. The portrait of the owner’s wife was painted right next to the owner on the southern wall. She is in a sitting position and slightly turned toward the owner of the tomb. The wife is described to have a slight smile on her rather plump face and was served by maids wearing splendid hair pieces and flower patterned silk dresses. On the left side of the entrance, which is located at the eastern wall, there is a gatekeeper standing to the direction of the entrance and holding his hands modestly. The girder directly above the wall is decorated with stunning cloud patterns, whereas the center of the Samgakgoim Ceiling (a ceiling with intersecting arches) is decorated with red lotus flowers. Outside the western side chamber, there is a painting divided into an upper and lower part: it depicts Subakhee, a fist-based martial art that was very popular for Koguryo people, and a line of Buwolsu (axe army) holding axes on the right wall at the entrance of the eastern side chamber.

The eastern side chamber is also rectangular, longer in the northeast direction, and is a bit smaller than the western chamber. The walls of the chamber are filled with colorful mural paintings that allow us to peek into the Koguryo housing culture. From crop trimming and cooking to elaborately painted wagon, cattle, etc., the images are very realistic and seem to depict the actual house of the owner. At the right side of the western wall, there is a picture of a mill that hints to the origin of a treadmill. It is interesting to see the images of women pounding with a mortar and winnowing. To the right, there is a painting of a Yongdurae well that uses the principle of a lever on the northern wall. It features water pots of various shapes and mangers around the wall. In the kitchen on the eastern wall, a woman who appears to be a maid is cooking in front of a large steamer. From the size of the container, we can estimate how many members lived in that household. In front of the furnace, another maid earnestly tends the embers. Another maid next to her arranges plates and items on top of a tray.

A slaughterhouse and a garage are shown by the kitchen. Animals such as roe deer and pigs hung by rings are shown in the slaughterhouse. There are two wagons in the garage. These wagons pulled by cows can also be found in “Procession Scene in Yaksuri Tomb with Mural Painting.” In a stable illustrated on the southern wall, there were three cows, a black, yellow, and brindled cow. All of them have red horns and wear nose rings. The left side of the western wall depicts a stable. The painting features incredible detail in various colors of the horses and in each hair of the horses’ manes. The living space is elaborately expressed in such great detail because of the ardent desire for the owner to continue his prosperity into the afterlife. The front chamber and the main chamber are partitioned by four pillars. There is a three-man band and a dancer who are seemingly from the countries bordering on Western China. They are dancing with twisted legs on the eastern wall of the main chamber, which is distinguished by four pillars from the front chamber. This painting is a reflection of the active external cultural exchange of Koguryo at the time.

The main chamber has a square-shape and its ceiling is a Pyeonghaengsamgakgoim structure that places double platform triangle prop over a triple parallel prop. From the eastern wall to the northern wall, the corridor is enclosed in a reverse-L shape. The southern wall of this corridor has a painting of an elevated building, and there is a “painting of a procession” of around 250 people. A multitude of people are featured in the scene, including the owner of the tomb in the cow-pulled wagon at the center and a marching band performing songs, music, and dance in the front, followed by the flag bearers, maids, and horse-riding civil officials at the back of the procession. The sheer number of people depicted indicates that the owner of the tomb was a man of very high position.

As shown in the mural paintings, Koguryo incorporated various cultures from the East and the West based on its wide foreign relations. The people re-interpreted and developed at other nations had to offer into their own distinctive culture.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allows us to get an understanding of the development of Koguryo painting and calligraphy, the era’s culture and various lifestyles, and a piece of its political-history during the Mid 4th century. Therefore, Anak Tomb No. 3 is recognized to have a very special position in our study of Koguryo’s cultural history. Because it allows us to understand a range of customs of the Koguryo people through its mural painting, Anak Tomb No. 3 is considered a great artwork reflecting the lives of the Koguryo people. It is our precious cultural heritage and offers valuable evidence in our study of Koguryo life.